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이 풍진 세상에 /풍경

아! 달성(達城), 그 ‘토성 둘레 숲길’을 걷다

by 낮달2018 2022. 6. 25.
728x90
SMALL

[달구벌 나들이] 대구 달성공원의 숨은 숲길, ‘토성 둘레길

*PC에서는 가로 사진을 누르면 큰 규격(1000×667픽셀)으로 볼 수 있음.

▲ 하늘에서 바라본 달성공원. 전체 면적 3만9천여 평 가운데 토성 부분은 2만여 평에 이른다. ⓒ 대구시

달성공원은 대구에서 가장 오래된 공원이다. 1596(선조 29)년 설치한 경상감영이 있던 자리인데,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고, 1969년 8월에 공원으로 문을 열었다. 대구의 인구가 100만이 되지 않을 때, 변변한 공원 하나 없었던 시절이라 달성공원은 이내 대구의 대표적인 휴식 공간이 되었다.

 

1969년에 문 연 달성공원, 온 시민의 사랑을 받았다

 

1969년은 내가 시골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대구의 한 공립 중학교에 진학한 해다. 그해 8월에 문을 열었다는데, 글쎄 관련한 기억은 전혀 없다. 내가 언제 처음으로 달성공원을 찾았는지도 기억에 없다. 아마 중3 때쯤, 가족은 아니고 친구들과 어울려 찾았던 듯싶다.

 

이듬해인 1970년 5월에 동물원이 문을 열면서 달성공원의 이름값은 더 높아졌다. 아이들은 달성공원 가족 소풍을 손꼽아 기다렸고, 아버지는 도시락을 싸고 가족들을 인솔해서 공원을 찾곤 했다. 카 225cm로 ‘달성공원 마스코트’, ‘거인 수문장’ 등 숱한 애칭으로 불리며 공원 정문을 지킨 키다리 아저씨도 달성공원의 한 부분이었다.

 

스무 살을 넘기며 ‘애들이나 가는 공원’에 흥미를 잃게 되면서 달성공원은 기억 속에서 지워져 갔다. 달성공원을 다시 찾은 건 2016년 퇴직하면서 지역 사람들과 함께 간 대구 답삿길에서다. 좋이 40년 만에 다시 찾은 달성공원은 예전과 그리 달라지지 않은 모습으로 나를 맞아주었다.

 

워낙 오랜 세월이 흐른지라, 키다리 수문장은 당연히 없고, 입장료도 없어졌다. 나는 답사 길라잡이를 따라 공원 남쪽에 있는 왕산 허위 선생 순국 기념비와 석주 이상룡 구국 기념비를 둘러보았고 이내 공원을 떠났다. 거기 왕산과 석주의 기념비가 있다는 사실도 그 무렵에 알았다.

▲ 달성공원에 있는 수운 최제우 동상, 왕산 허위 선생 순국기념비, 석주 이상룡 선생 구국기념비(왼쪽부터)
▲ 상화 시비의 뒷면
▲ 이상화 시비. 시 '나의 침실로'(전 12연) 중에서 11연을 새겼다. 내가 본 시비 중 가장 품위 있고 아름다운 시비다.

달성공원에 상화 시비가 있다는 사실도 나는 김소운의 <목근통신(木槿通信)>을 읽으며 알게 됐다. 여차한 명승지마다 사람들이 몰려들어 법석을 벌이지만, 실제로 사람들은 사람 구경을 하고 가는 게 고작이다. 정작 달성공원을 다녀왔지만, 상화 시비가 있다는 사실을 제대로 돌아본 이는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다.

 

대중교통으로 다시 달성공원을 찾다

 

달성공원을 다시 찾아 제대로 돌아봐야겠다고 생각한 것은 올 초부터였다. 지난 9일, 아침에 혼자서 기차로 대구에 와서 시내버스를 갈아타고, 달성공원 앞에 내렸다. 마침 점심때라, 부근의 오래 묵은 한식당에서 육개장을 먹었다. 수십 년 역사를 지닌 맛집이라고 했지만,  1만 원짜리 식사로는 조금 모자라지 않나 싶은 맛이었다.

 

정오를 넘긴 시각, 나는 정문을 통과했다. 지상의 구조물이나 시설보다 나는 공원을 빙 두른 달성(達城)을 돌아볼 생각이었다. 4m 높이의 토성(土城)인 달성은 공원을 감싸면서 1.3km에 걸쳐 이어져 있다. 그러나 나는 대략 서너 차례쯤 공원을 찾았지만, 그 토성의 존재를 전혀 의식하지 못했었다. [달성공원 안내도 보기]

 

신라 때 달구화현(達句火縣)이라 불린 대구는 통일신라 경덕왕 때에 비로소 대구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달성의 옛 이름은 이 달구화(達句火) 달불성(達弗城)에서 유래한 것으로 달성은 경주의 월성(月城)처럼 평지의 낮은 구릉을 이용하여 축성한 토성이다.

▲ 정문에서 바라본 공원 전경. 유치원생들이 소풍을 왔는가. 공원엔 둘레길뿐 아니라 안쪽에도 오래된 나무가 아주 많다.
▲ 이런 나무들의 존재 때문에 공중에서 내려다본 공원은 숲과 나무에 쌓여 있다.

달성은 청동기시대 이래, 지방의 중심세력이었던 집단이 그들의 생활근거지에 쌓은 성곽으로 추정한다. 성벽의 아래층에는 조개무지[패총(貝塚)] 유적이 있고 목책(木柵)의 흔적도 있다고 한다. 달성은 우리나라 성곽 가운데서 가장 이르게 나타난 형식인 셈이다.

 

<삼국사기>에서는 신라에 복속된 뒤 첨해왕 15년(261)에 달벌성을 쌓고 나마극종(奈麻克宗)을 성주로 삼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고려 공양왕 2(1390)년과 조선 선조 29(1596)년에 달성에 석축을 더하고 상주에 있던 경상감영을 현재의 자리(중구 포정동, 경상감영공원)로 옮겨가기(1601) 전까지 감영을 두기도 했다.

 

청일전쟁(1894~1895) 때는 일본군이 주둔했고 고종 광무 9년(1905)에 공원으로 만들어졌는데 일제강점기에는 공원 안에 대구신사(大邱神社)가 세워지기도 했다. 일본에서 발간한 《일본동맹통신사》에는 대구신사의 건립에 조선인 김용주(1905~1985, 창씨명 가네다 류슈)가 2천 원을 기부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김용주는 김무성 옛 새누리당 대표의 부친으로 <아사히(朝日) 신문> 남선판(南鮮版)에 ‘일제 군용기(애국기) 헌납’과 ‘징병’을 독려하는 기명(記名) 광고를 낸 친일 부역자다.

 

토성 둘레길을 한 바퀴 도는 거로 달성공원 답사를 시작했다. 토성은 공작사 뒤쪽에서 시작하여 향토역사관까지인데, 놀랍게도 이 길의 이름은 따로 붙이지 않은 듯했다. 몇 걸음만 걸으면 대구문화재자료 3호 관풍루(觀風樓)다. 경상감영의 정문으로 1601년(선조 34)에 건축된,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층누각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인데, 그 규모가 예사롭지 않다.  관풍루는 ‘감사가 누상(樓上)에서 세속을 살핀다(觀風世俗)’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경상감영의 정문인 관풍루.1906년 당시 관찰사 박중양이 대구읍성을 철거할 때 건물만 옮겼다가 1917년 달성공원 입구로 이전한 것이다.
▲ 관풍루 옆에 서 있는 팽나무 고목. 오른쪽으로 몇 걸음만 나오면 토성 둘레길의 출발점이다.

경상감영이 설치되면서 선화당의 남서쪽에 포정문(布政門)을 세우고 그 위에 만든 문루가 관풍루다. 1906년 당시 관찰사 박중양이 대구읍성을 철거할 때 건물만 옮겼다가 1917년 달성공원 입구로 이전한 것이다. 처마 아래 편액은 ‘관풍루’지만, 누각의 편액은 ‘영남포정사(嶺南布政司)’다.

 

누각 옆에 팽나무 고목 한 그루가 서 있는데, 가지들이 하늘을 향해 만세를 부르고 있는 듯했다. 가지에 빽빽하게 달린 연록 빛 나뭇잎들은 쏟아지는 햇살에 반짝반짝 빛을 냈다. 나무의 짙은 그늘에 중년 남녀 몇 명이 담소하고 있었다.

 

오래된 누각 아래,  고목이 짙은 그늘을 드리우고 있는 광경은 아름다웠다. 토성 둘레길이 얼마나 아름다운 숲을 품고 있는 길인가를 나는 단박에 깨달았다. 거기서 1.3km 이어진 숲길을 걸으면서 나는 연신 탄성을 질러 댈 수밖에 없었다.

▲ 공원의 북쪽인 금연공원의 벤치에서 쉬는 시민들. 대부분 노인들이다.
▲ 물개 사육장 앞의 나무들. 공원 안은 잔디와 나무로 구성되어 있다 해도 지나치지 않다.
▲ 공원 중앙의 서침나무. 달성을 국가에 헌납한 서침을 기리고자 서침나무라 부르는 회화나무. 쉬는 이들은 역시 노인들이다.
▲ 공원 중앙 어디쯤에서 만난 활엽수. 공원의 나무들은 약속이나 한 것처럼 굽은 가지를 자랑하고 있다.

누군가가 달성공원을 구성하고 있는 나무는 대체로 고욤나무·느릅나무·말채나무·팽나무·쉬나무·오동나무·회화나무·왕버들 등이라고 했다. 그러나 그걸 일일이 판별할 만한 눈이 내겐 없다. 대신, 이른바 ‘관리의 손길이 덜 미친’ 거친 만큼 자연에 더 가까운 흙길 좌우에 펼쳐진 숲이 연출하는 풍경 앞에 벌어진 입을 다물지 못할 뿐이다.

 

전체 공원 면적 129,700㎡(39,234평) 가운데 토성은 66,116㎡(20,000평)로 과반에 이른다. 단순히 둘레길에 불과할 것이라고 하지만, 평균 높이 4m의 길 좌우의 면적이 만만찮다는 뜻이다. 그리고 그 좌우에 제멋대로 휘어지고 꺾어진 나무들이 이루는 연록 빛 숲은 공원의 나머지 풍경을 압도하는 것이었다.

 

그 흔한 데크 구조물 하나 보이지 않는 길이다. 친환경 매트라는 ‘야자수 매트’도 없다. 길은 제대로 고르지 않아 거칠고, 오르막도 거친 자연석을 쌓아 계단을 만들었고, 길가에는 심심찮게 큼직한 돌들이 눈에 띈다. 인공의 구조물이라면 군데군데 놓인 벤치와 시멘트로 만든 쓰레기통 정도다.

▲ 토성 둘레길. 별로 다듬지 않은 흙길에 군데군데 빨간 칠을 한 벤치가 놓여 있다.
▲ 둘레길 좌우에 제멋대로 휘어지고 꺾어진 나무들이 이루는 연록 빛 숲은 공원의 나머지 풍경을 압도하고 있었다.
▲ 오른쪽 비탈 아래는 시가지가 펼쳐지고, 왼쪽 아래는 공원이다.
▲ 공원에서 둘레길로 오르는 통로. 돌로 거칠게 쌓아놓은 길이다.
▲ 토성 둘레길. 오르막에 돌로 쌓은 계단이 있는 거친 길이지만, 손이 덜 탄 이 길이 오히려 좋았다.

벤치는 어울리지 않게 고풍스러운 장식을 한 빨간 색인데 묘하게도 그게 전체 풍경을 흩트리지는 않는다. 거기 앉아서 쉬는 늙수그레한 중년과 노년의 남녀들도 마찬가지다. 거칠지만, 좌우의 숲에서 뿜어내는 신선한 대기 속에 연록의 풍경은 잘 녹아 있는 것이다.

 

공원 내부만 바라보는 시민들에게 숨겨진 토성 둘레길

 

두어 군데 공원에서 토성길로 오르는 길도 매끄럽게 정돈하지 않기는 매일반이다. 물개장 뒷길은 거친 질감의 돌을 쌓은 계단길이고, 잉어장 뒷길도 별다른 구조물을 쓰지 않은 흙길이다. 노인들이 걷기엔 다소 험한 길이긴 했지만 나는 그 길이 썩 마음에 들었다.

 

토성길로 다니는 사람은 대체로 중년이나 노년이다. 체육복 차림으로 걷기 운동을 하는 젊은이들은 공원 이웃에 사는 걸까. 토성길을 걷는 이들 가운데, 우연히 이 길을 발견한 이들도 적지 않았을 것이다. 그렇게 숨어 있는 이 숲길을 나는 40여 년 만에 처음 오른 것이다.

 

숲길을 걸으면서 나는 부지런히 셔터를 눌러댔다. 내 눈이 확인한 숲의 아름다움을 카메라의 눈으로 담았고, 망막에서 순식간에 사라져 버릴 풍경을 카메라 파인더 안에서 붙잡고 싶어서였다. 돌아가서는 컴퓨터 폴더에 보관한 숲길 사진을 보고 또 보았다. 보는 것만으로도 나는 그 숲길을 되짚어 다시 걷고 있는 듯한 느낌이었다.

▲ 나무와 숲의 빛깔을 한 마디로 표현할 수 없다. 어떤 것은 진록이고 어떤 건 연록이다.
▲ 토성길을 걷는 이들은 대체로 중년 이상 노년이었는데, 상대적으로 젊은 축들은 운동 삼아 걷는 이들이었다.
▲ 고목은 고목의 품격을, 가느다란 관목과 잡목은 그것대로 이 길의 풍경을 아우르고 있었다.

나는 지난해 가을, 진주성 둘레길을 둘러보면서 진주 시민을 부러워한다는 여행기를 썼다. 정작 진주 시민들은 이렇게 아름다운 곳을 잘 알지 못할 거라고 너스레를 떨면서. [관련 글 : 그냥 한번 와 봤는데진주 시민들이 진심 부럽습니다] 나는 달성공원의 토성 둘레길도 진주성의 그것에 못지않다는 걸 깨달으며, 단풍이 고운 늦가을에 이 숲길을 다시 찾으리라고 마음속으로 다짐하고 또 다짐했다.

 

2022. 6. 18. 낮달

 

[달구벌 나들이] 향촌문화관, 대구문학관

[달구벌 나들이] 대구 대봉동 김광석 길

[달구벌 나들이] 대구박물관(1) 첫 만남과 상설 전시

[달구벌 나들이] 대구박물관(2) ‘마침내 찾은 유적 고대마을 시지(時至)’

[달구벌 나들이] 대구 금호강 하중도(河中島) 유채꽃

[달구벌 나들이] 50년 전 중앙공원’, ‘경상감영공원이 되었다

[달구벌 나들이] 조선식산은행 자리에 들어선 대구근대역사관

 
 

대구에 이런 곳이? 입이 다물어지지 않았다

대구 달성공원의 숨은 숲길 '토성 둘레길'

www.ohmynews.com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