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판지다’, ‘-엘랑’도 표준어가 되었다
국립국어원, 2016년 표준어 추가 결과지난 27일, 국립국어원이 ‘2016년 표준어 추가 결과’를 발표함으로써 6항목의 어휘가 표준어, 또는 표준형으로 인정받았다. 새로 표준어의 지위를 갖게 된 낱말은 ‘걸판지다, 겉울음, 까탈스럽다, 실뭉치, -엘랑, 주책이다’ 등이다. 2011년 이후, 네 번째 ‘표준어 추가’ 1988년 표준어 규정을 고시한 이후, 국립국어원이 2011년부터 표준어 추가를 시행해 오고 있는 것은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일상적으로 쓰고 있는 말에 표준어의 지위를 줌으로써 다수 언중의 어휘 선택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조치다. 실제 국민이 실생활에서 일상적으로 쓰고 있으면서도 비표준어라는 이유로 홀대해 온 낱말들은 여전히 적지 않다. 이번까지 네 차례(2011년, 2014년, 2015년, 2..
2021. 12. 28.
동생의 남편, ‘제부’인가, ‘박 서방’인가
동생의 남편, 뭐라고 부르는 게 좋은가아내의 지인이 장인상을 당했다. 이를 처음 알리는 이가 ‘빙부(聘父)상’이라 전하자, 사람들은 헷갈렸던 모양이다. 사람들이 그게 무슨 뜻이냐고 물어대자 그예 아내도 미심쩍어졌던 것 같다. 국어를 가르치는 남편에게 응원을 청했다. “빙부라면 장인을 가리키는 거 아니우?”“왜 아니야. ‘빙장(聘丈)’하고 같이 쓰는 말이지.”“그런데, 왜 사람들은 하나같이 그걸 모른대?”“일상에서 잘 안 쓰는 말이니 그렇지, 뭐.” 경상도 지역(경상도 전역인지 경북 남부지방에 한정된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에선 장인, 장모의 높임말로 ‘빙장어른, 빙모님’을 썼다. 내 두 분 자형도 마찬가지였다. 물론 옛날이야기다. 요즘이야, 장인, 장모보다 더 가까운 ‘아버님, 어머님’도 거리낌 없이 쓰..
2021.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