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풍진 세상에 /역사 공부 「오늘」204 [오늘]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밀사 이준 분사하다 [역사 공부 ‘오늘’] 1907년 7월 14일, 헤이그에서 고종 밀사 이준 분사지금으로부터 109년 전인 1907년 오늘, 대한제국의 외교관 이준(李儁, 1859~1907)이 네덜란드의 헤이그 바겐슈트라트의 호텔에서 급서(急逝)하였다. 그는 고종의 특사로 헤이그에서 열리고 있었던 만국평화회의(정식 명칭은 헤이그회담, Hague Conventions)에 참여하여 외교활동 중이었다. 세 밀사, 헤이그에 가다 그는 을사늑약(1905)이 대한제국 황제의 뜻에 반하여 일본제국의 강압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폭로하고 을사늑약을 파기하고자 헤이그에 파견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계획은 인도 지배를 묵인받는 대신 일본의 한국 지배를 묵인하는 영일동맹으로 일본과 외교 관계를 맺고 있던 대영제국의 방해와 다른 열강의 비협조.. 2025. 7. 14. [오늘] 사육신, 군기감 앞에서 거열형으로 처형되다 [역사 공부 ‘오늘’] 1456년 7월 10일, 사육신 거열형으로 처형1456년 7월 10일(음력 6월 8일), 단종(1441~1457) 복위를 꾀하다가 붙잡힌 성삼문·이개·하위지·박중림·김문기·성승·유응부·윤영손·권자신·박쟁·송석동·이휘 등이 군기감(軍器監) 앞에서 조정 대신들이 입회한 가운데 수레로 찢겨 죽임을 당하는 거열형(車裂刑)을 당했다. 이들의 머리는 사흘 동안 저자에 효수되었다. 심문 도중에 죽은 박팽년과 잡히기 전에 아내와 함께 스스로 목숨을 끊은 유성원과 허조에 대해서도 따로 시체를 거열하고 효수하였다. 이들의 친자식들도 모두 목을 매어 죽이는 교형(絞刑)에 처해졌으며, 집안의 여성들은 노비가 되었고, 가산도 모두 몰수되었다. 세조 2년(1456) 7월 4일(음 6.2.) 정창손 등의 고.. 2025. 7. 10. [오늘] 일생을 가난과 싸웠던 소설가 최서해, 서른둘에 스러지다 [역사 공부 ‘오늘’] 1932년 7월 9일, 소설가 최서해 떠나다1932년 7월 9일, ‘탈출기’와 ‘홍염(紅焰)’의 작가 최서해(崔曙海, 1901~1932)가 위문 협착증 수술을 받다가 세상을 떠났다. 소작인의 아들로 태어나 평생을 가난과 싸웠고, 그 빈궁(貧窮)을 문학으로 형상화해 왔던 서해는 끝내 그 가난을 벗지 못하고 눈을 감았다. 향년 32세. 최서해의 본명은 학송(鶴松), 서해(曙海)는 설봉(雪峰) 또는 풍년(豊年) 등과 같이 쓴 아호다. 그러나 그는 소월처럼 본명보다 이름으로 주로 불린다. 함경북도 성진에서 소작농의 외아들로 태어난 그는 1910년 아버지가 간도 지방으로 떠나자 어머니의 손에서 유년과 소년 시절을 보내었다. 서해는 유년 시절에 한문을 배우고 성진보통학교에 3년 정도 다닌 걸.. 2025. 7. 9. [오늘] 한미, ‘주둔군 지위협정(SOFA)’ 조인하다 [역사 공부 ‘오늘’] 1966년 7월 9일, 한미 ‘주둔군 지위협정(SOFA)’ 조인1966년 오늘(7월 9일), 대한민국 외무부 장관과 미합중국 국무장관 간에 대한민국과 미합중국 간의 상호방위조약 제4조에 의한 시설과 구역 및 대한민국에서의 미합중국 군대의 지위에 관한 협정(약칭 ‘한미SOFA’ Status of Forces Agreement)이 조인되었다. 이 협정은 같은 해 10월 14일 국회의 비준 절차를 거쳐 1967년 2월 9일 발효되었다. 그간, 이 협정은 ‘한미행정협정’이라고 통칭하였지만, ‘행정협정’은 국회에서 정식으로 비준되지 않은 약식 조약을 지칭하므로 부적절하다는 지적에 따라 최근엔 ‘한미 SOFA’나 ‘한미주둔군지위협정’이라고 쓴다. 1966년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 조.. 2025. 7. 9. [오늘] 박정희 정권의 중앙정보부, ‘동백림 사건’ 발표 [역사 공부 ‘오늘’] 1967년 7월 8일 - 박정권 부정선거 규탄시위 무력화 의도 ‘동백림사건’ 발표1967년 오늘(7월 8일) 중앙정보부는 독일과 프랑스의 유학생과 교민 등이 동베를린의 북한 대사관과 평양을 드나들면서 간첩 교육을 받고 대남 적화 활동을 벌인 간첩단 사건을 발표했다. 이른바 ‘동백림(東伯林, 동백림은 동베를린의 음역 표기) 간첩단 사건이었다. 동백림 간첩단과 6.8 부정선거 특히 이 사건에 연루되어 국내로 송환된 인사 가운데 당시 프랑스 화단에서 인정받던 화가 이응노(63)와 재독 작곡가 윤이상(50)이 포함되어 있었다. 중앙정보부는 수사 도중 열흘 동안 7차례에 걸쳐 이 사건을 대대적으로 발표했고 유럽에서 활동하고 있는 유명 예술가들이 낀 간첩단 사건은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 2025. 7. 8. [오늘] 경부고속도로 개통과 그 ‘신화의 이면’ [역사 공부 ‘오늘’] 1970년 7월 7일, 경부고속도로 전구간 개통1970년 오늘, 1968년 2월 1일 첫 삽을 떴던 경부고속도로가 2년 5개월여 만에 완공되어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경부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금정구를 기점으로 서울특별시 서초구가 종점인 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호선이고,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일본~불가리아) 구간의 일부다. 경부고속도로는 대전과 대구, 울산 등 3개 광역시를 거칠 뿐만 아니라 수도권 대도시, 지역 거점 도시들을 거치기 때문에 ‘국토의 대동맥’이라 비유되었다. 또한, 경부고속도로는 서울·수원·오산·천안·대전·영동·황간·김천·구미·왜관·대구·영천·경주·언양·양산·부산 등 주요 지역을 거쳐 전국을 일일생활권으로 연결하는 것이었다. 단군 이래 최대토목사업 29개월 만에 준.. 2025. 7. 7. 1996년 오늘, 복제양 ‘돌리’가 태어났다 1996년 7월 5일 복제로 새끼 양 돌리(Dolly) 태어나다1996년 7월 5일, 세계 최초의 포유동물 복제로 새끼 양 돌리(Dolly)가 태어났다. 영국 로슬린연구소(Roslin Institute)의 이언 윌머트(Ian Wilmut)) 박사와 키스 캠벨(Keith Campbell)은 6년생 양의 체세포에서 채취한 유전자를 핵이 제거된 다른 암양의 난자와 결합시킨 뒤 이를 대리모 자궁에 이식하여 세계 최초로 포유동물을 복제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돌리는 여섯 살짜리 핀란드의 양의 유선(乳腺) 세포 체세포를 스코틀랜드 양의 난자와 핵을 치환해서 만들었다. 수정란 착상을 276번이나 시도했지만 계속 실패하다가 277번째 수정란 착상이 성공해서 돌리가 태어났다. 스코틀랜드 양의 가슴에 있는 세포를 이용했다.. 2025. 7. 6. [오늘] 민중 목판화의 오윤, 마흔에 지다 민중화가 오윤(1946 ~ 1986. 7. 5.)1986년 오늘(7월 5일), 1980년대 민중미술운동을 대표했던 화가 오윤(吳潤, 1946~1986)이 마흔의 짧은 생애를 마감했다. 그는 서슬 푸른 군부독재의 공포정치가 자행되던 1980년대에 리얼리즘 미술운동으로 맞섰던 현대 판화의 선구자였다. 그는 단편소설 의 작가 오영수(1909~1979)의 장남으로 부산에서 태어났다. 소설가 오영수는 경남여고 미술 교사였는데 그는 아버지를 따라 바다가 보이는 부산 동구 수정동의 경남여고 관사에서 자랐다. 내성적이어서 조용한 아이였던 오윤은 중고등학교 시절에 누나를 통해 시인 김지하를 알았고 1965년 대학에서 공부하면서 미술운동에 뛰어들었다. 1980년대 민중미술 운동의 상징적 존재 그는 1969년 서울대 미술대.. 2025. 7. 5. [오늘] 남북한 당사자 간 최초 합의 ‘7·4 남북공동성명’ 발표 [역사 공부 ‘오늘’] 1972년 7월 4일, 서울과 평양에서 각각 발표1972년 7월 4일 오전 10시에 분단 이후 남북한 당사자 간 최초의 합의문서인 ‘7·4 남북공동성명’이 각각 서울과 평양에서 발표되었다. 7·4 남북공동성명은 분단 27년 만에 남북이 최초로 통일문제를 합의하여 발표한 역사적 공동성명이었다. 7·4 남북공동성명, 분단 이후 첫 합의문서 이날, 남과 북은 “서울의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이 1972년 5월 2일부터 5월 5일까지 평양을 방문하여 평양의 김영주 조직지도부장과 회담을 진행하였으며, 김영주 부장을 대신한 박성철 제2 부수상이 1972년 5월 29일부터 6월 1일까지 서울을 방문하여 이후락 부장과 회담을 진행했다.”는 경과보고에 이어 ‘조국통일원칙’과 남북의 통일문제 해결을 위.. 2025. 7. 4. [오늘] 귀순 북한 중앙통신 부사장 이수근, ‘위장 간첩’으로 처형 [역사 공부 ‘오늘’] 1969년 7월 3일, 귀순 이수근, 위장 귀순 간첩 혐의로 처형1969년 7월 3일, 이태 전에 판문점 북측 지역을 극적으로 탈출해 귀순했던 북한 중앙통신 부사장 이수근(1924~1969)이 ‘위장 귀순 간첩’ 혐의로 선고받은 사형이 집행되어 마흔다섯의 나이로 곡절 많은 삶을 마감했다. 1967년 3월 22일 판문점에서 40여 발에 이르는 북한 경비병의 총탄을 피해 ‘자유대한의 품’에 안겼을 때 그는 영웅이었다. 죽음을 무릅쓰고 동토의 공화국을 탈출하여 마침내 자유를 쟁취한 영웅의 앞길은 장밋빛 미래가 펼쳐질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그는 불과 이태 만인 1969년 1월, 위조여권을 이용해 캄보디아로 향하다가 베트남에서 중앙정보부 요원에게 체포되어 한국으로 강제 압송되었다. 그해 .. 2025. 7. 3. [오늘] ‘전 국민 의료보험제도’ 완성 30돌 [역사 공부 ‘오늘’] 1989년 7월 1일, ‘전 국민 의료보험제도’ 완성올로 전 국민 의료보험제도 완성 30주년이 되었다. 이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을 만큼 가장 단기간에 전 국민 의료보험을 달성한 사례라고 한다. 1966년 의료보험법 제정을 기준으로 하면 26년, 1977년 직장의료보험 실시를 기준으로 할 땐 불과 12년 만에 우리는 전 국민 의료보험을 달성한 것이다.두 세기에 걸친 예이긴 하지만 1883년 세계 최초로 국가 주도의 의료보험제도를 도입하기 시작한 독일이 전 국민 의료보험을 달성하는 데는 무려 100여 년(1883~1988)이 소요되었다. 일본만 해도 36년(1922~1958)이 걸렸다. 한국의 의료보험 제도는 충분히 세계의 주목을 받을 만한 것이다.2017년 8월 9일, 정부.. 2025. 6. 30. [오늘] 휴전 30돌에야 ‘이산가족 찾기’ 생방송 시작 [역사 공부 ‘오늘’] 1983년 6월 30일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1983년 오늘(6월 30일), 한국방송공사(KBS)는 1TV를 통해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를 방송하기 시작했다. 이 특별생방송은 한국전쟁 33주년과 휴전협정(1953.7.27.) 30주년을 즈음하여 일제 식민지 지배와 한국전쟁(1950)으로 인한 남북분단이 낳은, 약 1천만 명에 이르는 이산가족을 찾기 위해 기획한 특별 프로그램이었다. KBS는 본래 라디오에서 10여 년 동안 이산가족 찾기 방송을 해왔기 때문에 하루 동안 10가족 정도가 만나게 될 것으로 예상했었다. 그러나 예상을 뒤엎고 시민들이 끊임없이 밀어닥치는 뜻밖의 열기에 KBS는 닷새간 정규방송을 취소하고 이산가족 찾기 릴레이 생방송을 이어갔다. 상봉률 .. 2025. 6. 30. 이전 1 2 3 4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