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이 풍진 세상에 /가겨 찻집 202

‘세상을 담는 아름다운 그릇’, 한글 563돌 한글날을 맞으며 내일은 훈민정음 반포 제563돌을 기념하는 한글날이다. 2005년 우여곡절 끝에 국경일의 지위를 회복하였지만, 여전히 공휴일과는 거리가 먼 날이다. 예년과 마찬가지로 나는 태극기를 달고 양복을 입고 출근할 것이며, 아이들에게 문병란 시인의 ‘식민지의 국어 시간’을 읽어 줄 것이다. 조회를 열어 한글날 기념식을 치르는 것은 이제 아득한 전설이 되었다. 0교시 보충수업으로 하루를 열고 보충수업과 야간자습으로 하루를 닫는 2009년의 인문계 고등학교는 여전히 바쁘고 고단하기만 한 것이다. 지난해부터 시작한, ‘놀토’ 때문에 다음 주말로 밀린 ‘한글날 기념 백일장’이 그나마 이날을 기억하는 유일한 시간이다. 비록 ‘영어 몰입교육’ 소동으로 통치를 시작한 정권이긴 하지만, ‘한글날’은 국.. 2019. 9. 12.
뒤늦게 ‘아래아 한글’에서 맞춤법을 배운다 한글 2018의 한글맞춤법 검사 기능 ‘한글 2018’을 쓰면서 이전 판에서는 거의 쓰지 않았던 ‘맞춤법’(F8) 검사·교정 기능을 매우 생광스럽게 쓰고 있다. 지금도 평생교육 사이트 ‘우리말 배움터’에서 쓰이고 있는 이 검사기는 부산대학교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개발한 ‘아래아 한글용’이다. ‘한글 2018’에서는 ‘맞춤법 검사 기능’을 아래와 같이 ‘개선’했다고 밝히고 있다. ‘아래아 한글’의 맞춤법 기능 '괄목상대'하게 되다 ‘아래아 한글’의 맞춤법 기능은 잘못 쓰인 단어나 어구에 빨간 줄로 표시되는데 유독 이번 판에서는 그 빈도가 는 느낌이 있었다. 흠이 보이지 않는 문장에도 빨간 줄이 그어지니 궁금해서 들여다보지 않을 수 없다. 그랬는데 아, 이게 허투루 넘길 부분이 아니구나 싶은 생각이 번쩍 든 것.. 2019. 7. 24.
세벌식 , 한글 이야기(1) 세벌식 글자판과 한글 입력 타자기를 처음 만지게 된 것은 군대에서였다. 먹지를 대고 공문서를 쓰고, 등사기로 주번 명령지를 밀던, 특전대대 행정서기병 시절이다. 어느 날, 중고 레밍턴 타자기 1대가 대대 인사과로 내려왔다. 비록 중고이긴 했지만, 그 작고도 선명한 인자(印字)가 선사하던 감격을 잊을 수 없다. 한 이태 가까이 그놈을 벗하며 살았다. 이른바 ‘독수리 타법’을 벗지 못하였지만, 일정한 속도를 확보할 무렵, 나는 만기 전역했고 이내 대학으로 돌아갔다. 이듬해, 월부로 ‘크로바 타자기’를 한 대 샀다. 물경 10만 원짜리였다. 자판을 외우고 능숙하게 다섯 손가락을 자유로이 쓰게 된 것은 당연한 일. 모두 손으로 쓴 졸업논문을 낼 때, 타자로 가지런히 친 논문을 제출한 건 나뿐이었을 게다. 독재정.. 2019. 4. 18.
조합형 코드, 한글 이야기(2) 한때 휴대폰에서 ‘똠방각하’를 쓸 수 없었던 이유 얼마 전 블로그(nalm's Blog)에서 “다음 폰트로는 ‘똠방각하’를 쓸 수가 없다?!”라는 글을 읽었다. 요지는 이렇다. “포털 다음(daum)에서 한글날 맞이 이벤트로 무료 글꼴(폰트)인 ‘다음체’를 공개했는데 그게 완성형으로 만들어진 글꼴이어서 일부 한글을 쓰지 못한다”는 것. 그러면서 그 글에서는 다음체로는 ‘먄해(미안해)’와 ‘똠방각하’를 입력할 수 없다는 실제 예를 ‘워드 2007’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다음의 한글날 맞이 이벤트 페이지(http://fontevent.daum.net/)에 들어가 보니 이에 대한 해명이 올라와 있다. “다음체는 2,350자의 완성형으로 제작된 폰트이기 때문에 이외의 글자는 표현이 안 되는 것이 맞다.”고 .. 2019. 4. 14.
호(胡)와 양(洋), 중국과 서양에서 들여온 물건에 붙는 말 중국과 서양에서 들여온 문물에 붙이는 접사 뜻밖에 우리말(고유어)처럼 쓰는 말 가운데 한자어가 적지 않다. 아, 그랬어? 하고 머리를 주억거리게 하는 말들 가운데 ‘무려’, ‘도대체’, ‘하필’, ‘어차피’ 같은 말이 있는 것이다. 처음에는 한자어로 쓰다가 어느새 우리말로 녹아들어 버린 말들이다. [관련 글 : ‘눈록빛’을 아십니까, 우리말 같은 한자어들] 처음엔 외래어였다가 오랜 세월을 지나며 자연스럽게 우리말에 동화된 귀화어(歸化語)도 비슷한 경우다. 나라 바깥에서 들어온 사물에 붙이는 말도 처음엔 낯설다가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눈과 귀에 익은 우리말처럼 되는 것은 다르지 않다. 나라 밖에서 들어온 물건에 붙이는 접두사 중국이나 서양에서 들어온 사물에 이름을 붙일 때는 대체로 ‘합성’이나 ‘파생’의 .. 2019. 3. 7.
‘눈록빛’을 아십니까, 우리말 같은 한자어들 이게 우리말 아니라 ‘한자어’라고? 이게 한자였어? 우리말 같은 한자어들 ‘눈록’이란 낱말을 처음 만난 것은 신영복 선생의 서간집 에서였다. 감옥 안에서 새싹을 틔운 마늘, 거기 담긴 봄을 감동적으로 전하는 글이었다. “눈록빛 새싹을 입에 물고 있는 작은 마늘 한 쪽, 거기에 담긴 봄은 결코 작은 것이 아닙니다. 봄이 아직 담을 못 넘은 것이 아니라 우리가 모르는 새 벌써 우리들의 곁에서 새로운 생명을 키우고 있었던 것입니다.” 눈록빛! 눈과 귀에 선 낱말이었지만 나는 앞뒤 맥락으로 그게 무슨 뜻인지를 넉넉히 새길 수 있었다. 어릴 적 마늘 한 쪽을 물 담은 병 주둥이에 꽂아 두면 틔우던 새싹. 그 연둣빛을 선생은 ‘눈록빛’이라고 표현한 것이었다. 나는 이렇게 멋진 우리말이 있었다는 사실에 적잖이 감동했.. 2019. 2. 28.
누룽지는 ‘눋고’, 강물과 재산은 ‘붇는다’ [가겨찻집] 다른 ‘ㄷ불규칙용언’ ‘듣다’와 ‘싣다’와 같은 방식으로 쓰라 얼마 전 어느 매체에서 기사 제목을 “하루 더 늘은 2차 북미정상회담…”이라 쓴 걸 보았다. 김정은· 트럼프 간 2차 북미정상회담 일정이 하루 더 ‘는’ 것을 그렇게 표기한 것이다. 이 동사의 기본형은 ‘늘다’니 그 관형사형은 ‘늘 + ㄴ→ 는’으로 써야 한다. ‘늘은’이 아니라 ‘는’이다 ‘늘다’뿐 아니라, 어간의 끝소리가 ‘ㄹ’로 끝나는 모든(!) 동사·형용사는 같은 형식으로 써야 맞다. 이런 용언은 ‘ㄴ’으로 시작하는 어미(-ㄴ/-은/-는) 앞에서 반드시 ‘ㄹ’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예외는 없다. 그래서 이러한 활용을 ‘규칙활용’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위와 같은 실수를 한다.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 2019. 2. 17.
‘퉁퉁 불은 국수’와 ‘몸 달은 KBS’ ‘퉁퉁 불은’은 맞고 ‘달은’은 틀리다 얼마 전 대통령의 발언으로 ‘퉁퉁 불은 국수’가 화제가 된 적이 있다. 대통령이 지난 2월 23일 국회의 ‘부동산 3법 처리 지연’을 두고 ‘퉁퉁 불어터진 국수’라고 비유하면서다. 이를 두고 이런저런 반박도 적지 않았지만, 그 비유의 적절성이 아니라 맞춤법을 한번 따져 보자. 은 올바른 표현 어간이 ‘ㄹ’로 끝나는 동사 가운데 ‘물들다’나 ‘울다(발라 놓거나 바느질한 것 따위가 반반하지 못하고 우글쭈글해지다.)’를 ‘물들은’, ‘울은’으로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 이들 용언은 ‘ㄴ’음 앞에서 ‘ㄹ탈락’이 저절로 일어나는 규칙 동사이므로 ‘물든’, ‘운’으로 쓰는 게 옳다. [ 참조] 그러나 ‘불은’의 기본형은 ‘물에 젖어서 부피가 커지다’는 뜻의 동사 ‘붇다’다. .. 2019. 2. 15.
말에 담긴 ‘차별과 편견’ 넘기 국립국어원 펴냄 말 속에 ‘차별’이 담겨 있음은 두루 아는 일이다. 직업이 직업인지라 나는 늘 그런 것을 의식하고 사는 편이다. 생각 없이 흘린 말도 뒤에 되짚어보면 그게 어떤 ‘차별’로 이어지지 않나 싶어 기분이 찜찜할 때도 많다. 글을 쓰는 것은 그나마 성찰할 여유가 있어 낫지만, 말은 주워담을 수 없는 것이니 더욱 그렇다. ‘불가능한 일을 억지로 하려고 힘쓰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앉은뱅이 용 쓴다.’라는 속담이 있다. 이 속담은 우리 국어사전에서는 잘 검색되지 않는다. 일본 속담에 ‘멸치의 이 갈기’와 함께 ‘앉은뱅이 용쓰기’가 있는데 이로 미루어보면 이 속담은 일본에서 들어온 말일 수도 있겠다. 부모님 세대로부터 이 말을 들으며 자란 나는 저도 몰래 그 속담을 인용하는 경우가 꽤 있다. 원뜻보.. 2019. 2. 3.
이제 ‘꺼림직하다’나 ‘추켜세우다’도 표준어다 국립국어원, 2018년도 1/4~3/4분기 정보 수정 주요 내용 공개 국립국어원이 2018년도 1/4분기에서 3/4분기까지 정보 수정 주요 내용(30개)을 공개했다. 핵심 내용은 2017년 국어심의회 결정에 따라, 그동안 비표준어로 다루어 왔던 ‘꺼림직이, 꺼림직하다, 께름직하다, 추켜세우다, 추켜올리다, 치켜올리다’의 전체 또는 일부를 표준어로 변경한 것이다. 에서 ‘북한어’로 표시되는 표제어들이 있다. 이들 낱말은 북한에서는 ‘문화어’, 즉 표준어의 지위를 갖지만, 남한에서는 비표준어로 처리된다. 북한어는 《조선말 대사전》(1992)에 수록된 단어 가운데 남한에서 쓰임이 확인되지 않은 단어와 어문 규정의 차이로 달리 표기하는 단어를 편찬 원칙에 따라 선정하여 수록하였다. 남한에서 쓰는 단어라도 북한에.. 2018. 12.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