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이 풍진 세상에 /가겨 찻집

대답으로 쓸 때는 ‘아니오’가 아니라 ‘아니요’다

by 낮달2018 2025. 2. 16.

 

대답에 쓰는  ‘아니요’ 는 감탄사, 서술어로 쓰는 ‘아니오’는 형용사다

 


컴퓨터 작업을 하다가 파일을 삭제하려면 ‘정말 삭제할 거냐’고 묻는다. 혹시 삭제 버튼을 잘못 누른 것은 아닌가 하고 확
인하는 절차다. 삭제하려면 아래 있는 ‘예’와 아니면 ‘아니요’를 눌러 파일을 삭제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 이는 컴퓨터에서 파일의 삭제가 가능한 모든 프로그램에서 비슷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우리는 무심코 지나지만, 이러한 물음에 대한 답 가운데, 부정은 ‘아니오’가 아니라 ‘아니요’다. 얼른 생각하면 ‘아니오’일 듯하지만, ‘아니요’가 맞다. 물음에 대해 답하는 ‘아니요’는 ‘예’와 마찬가지로 ‘감탄사’다. ‘아니오’는 주로 “ 어떤 사실을 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말”인 형용사 ‘아니다’의 종결어미 ‘오’가 붙은 형태다.

 

1. 감탄사 : 오늘 철수 봤니? 아니요, 못 봤습니다.

2. 형용사 : 그는 천재가 아니오.

                    그 사람 바보 아니오?

 

서술어로 쓸 때  아니오의 발음은 [아니요]

 

서술어로 쓰이는 ‘아니오’의 발음은 [아니요]다. ‘아니’의 ‘ㅣ’ 모음이 순행 동화되어 ‘-오’가 ‘-요’로 발음되기 때문이다. 종결어미 ‘-오’는 대부분 발음에서 [요]로 발음된다. 단, ‘안녕하세요’에 쓰이는 ‘요’는 어미 ‘시어요, 셔요’에서 온 말로 표준말로 처리한다.

 

· 안녕히 계십시오.[---요]

· 어서 오십시오[---요]

· 들어가지 마시오.[--요]

 

열거할 때 쓰는 연결어미  ‘-

 

“((‘이다’, ‘아니다’의 어간 뒤에 붙어))어떤 사물이나 사실 따위를 열거할 때 쓰이는 연결 어미” ‘-요’도 있다.

 

· 나는 길이, 진리 , 생명이니
· 우리는 친구가 아니 , 형제랍니다.

 

감탄사 ‘아니요’와 ‘예’, 그리고 형용사 ‘아니다’는 아래 <표준국어대사전>의 풀이를 참고하라. 형용사 ‘아니다’는 용언이므로 ‘아니고, 아니니, 아니라, 아니므로, 아니어서, ……’ 등으로 ‘활용’도 이루어진다.

 

 

2025. 2. 16. 낮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