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이 풍진 세상에 /선산(구미) 이야기

879억 들여 만든 애물단지 ‘새마을 공원’... 이게 끝이 아니다

by 낮달2018 2019. 7. 24.
728x90
SMALL

[구미 새마을 테마공원 직접 가봤더니] 이미 골칫덩어리 테마공원... 새로운 골치 예고 역사자료관

▲ 지난해 개관 뒤 6개월 동안 관람객이 하루 평균 174명에 그쳤다는 새마을 테마공원의 주 전시관. 879억 원짜리 시설이다.

구미시 상모동의 이른바 '박정희 타운'에 있는 새마을 테마공원(아래 테마공원)에 들른 것은 지난 6월 중순이 지나서였다. "879억 원짜리 경북 구미 새마을공원, 하루 평균 관람객 '174명'"이라는 기사를 읽은 것은 그보다 열흘 전이었다.

 

저간의 사정이야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일이다. 이는 전임 시장이 벌인 박정희 기념사업을 빼도 박도 못 하고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진행한 결과다. 건물을 기막히게 세웠는데 정작 거기 채울 내용은 없고, 그냥 시설을 유지하는 데에만 연간 수십억 원의 예산이 필요하다. 경상북도와 구미시가 부담을 미루다가 간신히 봉합해 문을 열었는데 결과가 그렇다는 거다.

 

하루 평균 관람객 174명에 불과한 현실

 

테마공원으로 들어가는 차량 진입로의 차단기는 열려 있었으나 내가 머문 시간 동안 드나드는 차는 한 대도 없었다. 거대한 주 전시관 건물 현관으로 뻗은 진입로 양옆에 세운 파란색 바람개비만이 가끔 이는 바람에 무심히 돌아가고 있었다.

 

생가 주변의 주차장 쪽은 한결 나았지만, 평일이라서 그런가 외지에서 온 차량은 보이지 않았다. 인근 유치원과 어린이집 아이들을 싣고 온 노란 승합차 몇 대만이 보일 뿐이었다. 박정희 동상 옆에 세우고 있는 역사자료관 건물은 여전히 공사 중이었다.

 

박정희 탄생 100주년을 전후해 경상북도와 구미시에서 벌인,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박정희 기념사업'은 예산만 1000억 원이 넘는 대형 사업이었다. 879억 원짜리 테마공원에 이어 전직 대통령의 유품을 전시할 195억 원짜리 '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 건설은 박정희 마케팅의 정점을 찍는 것이었다.

 

시민들의 행복과 민생을 위한 투자를 외면한 채 '죽은 자를 제사 지내기 위해'(구미참여연대) 1000억 원 이상의 세금을 쏟아부음으로써 구미시는 '박정희 대통령 연구의 중심도시' '새마을 종주(宗主) 도시'를 표방하려 했다.

 

이 박정희 기념사업을 비정상적으로 키운 인물 중엔 3선 연임 뒤에 물러난, 전임 남유진 시장이 있다. 김관용 전 경북도지사는 여기 힘을 보탠 사람 중 하나다. 그는 남 시장에 앞서 3선 연임한 전임 구미시장이었다. 이명박(2008~2012)·박근혜 전 대통령(2013~2017) 재임 시기에 각각 구미시장과 경북도지사로 재직한 이들은 박정희 기념사업의 주요한 결정 당사자였다. 그리고 이 기념사업에 대한 적지 않은 국비 지원이 가능했던 것은 이명박·박근혜가 대통령으로 재임하고 있었기 때문이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테마공원 공사가 완료된 것은 2017년 말이다. 그러나 테마공원이 문을 연 것은 1년이 지난 2018년 11월이었다. 25만여 ㎡의 터에 지상 3층·지하 1층으로 전시관, 전시관 부속동, 글로벌관, 연수관 등 건물 네 동과 야외 새마을 테마촌을 지었으나, 그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한 탓이었다.

 

뒷설거지는 후임에게

 

불행하게도 전임 대통령 두 사람은 지금 기소 중이고 두 명의 전임 구미시장도 각각 현직에서 물러났다. 형식상 이들은 이 사업의 책임에서 자유로워졌다. 그리고 이에 대한 뒷설거지는 지난 2018년 지방선거에 승리해 취임한 신임 장세용 구미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고스란히 맡게 됐다.

 

구미 시민들은 지난 2018년 지방선거에서 만년 보수시장 대신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선택했다. 선거 기간 장세용 후보는 '유물전시관 취소를 검토하고 새마을운동 테마공원은 경북 민족 독립운동기념관으로 바꾸는 것을 고민 중'이라고 밝혀 전향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때만 해도 최소한 전임시장이 벌여놓은 사업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에 대한 그의 입장은 분명한 듯했다.

 

그러나 취임 이후에도 이 문제는 마땅한 답을 찾지 못한 채 답보 상태다. 지역 보수 진영의 반대가 완강했고, 무엇보다도 이미 결정된 사업을 구미시에서 임의로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관련 기사 : 구미는 민주당 시장 택했는데… '박정희 우상화 사업' 중단 안 하나).

 

테마공원의 운영비 부담을 두고 구미시와 다투던 경상북도는 일단 약 연 30억 원 정도로 추정되는 운영비를 2년 동안 반반씩 부담하기로 했다. 그 이후부터는 도가 운영비를 대기로 하고, 어정쩡하게 공원 문을 열었다. 그리고 다시 반년이 흘렀다. <한겨레>의 보도에 따르면, 그 반년 동안 무인 계수기로 계측한 테마공원 관람객은 하루 평균 174명(181일 동안 3만1500명)에 그쳤다고 한다.

 

그마저도 감소세라고 하는 이유는 뻔해 보인다. 7월 중순에 다시 테마공원에 들렀을 때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전시관을 둘러보는 동안 관람객이라곤 견학 온 어린이집 아이들뿐이었다. 용역회사 직원이 지키고 있는 1층 로비는 번쩍번쩍 빛나는 대리석으로 호화로웠으나 정적만 감돌고 있었다.

 

도와 시는 각각 25억 원을 출연해 콘텐츠를 보강하겠다고 나섰지만, 별로 낙관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5500만 원을 들여 실시설계용역을 진행 중이고, 기본계획수립용역을 거쳐 콘텐츠 보강 공사를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그런데 근본적인 문제점은 콘텐츠에 있지 않다.

 

거의 반세기 이전의 정부 주도 지역사회 개발 운동(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을 소환한다고 해도, 이미 시대도 사람도 달라진 오늘 그 현재적 의미를 어떤 방식으로 드러낼 수 있을까. '새마을'에서 벗어나 원점에서 '공원 활용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 보면 안다, 사람들이 안가는 이유를

▲ 담장 보수, 지붕 개량, 마을 진입로 확장, 소하천 정비 등 새마을운동의 모습을 석고 모형으로 꾸며내는 등, 전시물은 빈약하기 짝이 없었다.
▲ 가장 심심한 전시물. 새마을 자전거 두 대를 세워 놓은 이 코너는 테마공원의 빈약한 콘텐츠를 고스란히 드러내는 것이었다 .
▲ 새마을 구판장 앞의 자전거와 거기 실린 쌀가마니도 심심하긴 마찬가지다.

전시관 1층 기획전시실은 비었고, 2층은 태동관, 세계화관, VR체험관으로, 3층은 역사관, 새마을 사람들 등으로 구성돼 있다. 그러나 전시관을 한 바퀴 돌고 나오면 '이런, 이게 전부인가' 싶어 허탈해진다. 태동관은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태동기를 보여주는데, 각각 지게와 물지게를 진 아이와 어른의 그림을 배경으로 지게와 물지게 실물이 놓여 있다. 그리고 초가집과 부엌, 마루 등을 재현해 놓았다.

 

또 담장 보수, 지붕 개량, 마을 진입로 확장, 소하천 정비 등 새마을운동의 모습을 석고 모형으로 꾸며내는가 하면 박정희의 이름이 박힌 시멘트 부대 등이 전시돼 있었다. 평면적인 형태의 새마을회관이나 새마을구판장도 있고, 구판장 앞에 세워둔 짐 자전거 위에는 쌀가마니 하나가 실려 있었다.

 

새마을 역사관에는 새마을지도자대회 포스터와 새마을운동의 유네스코 등재 소식, 국민체조 따라 하기, '직접 쳐 보라'는 새벽종 하나가 전시돼 있었고, 새마을 자전거 두 대를 세워 놨다. 기대한 것은 물론 아니었지만, 그런 내용으로 채운 테마공원에 사람들이 올 이유는 없는 건 명확했다.

 

시청 새마을과 실무자들과의 통화에서도 지금 테마공원이 처한 문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주무관은 자신의 의견은 드러내지 않고 현재의 객관적 상황, 즉 '실시설계용역 중이며 그 결과에 따라 콘텐츠가 보강될 것'이라는 사실을 거듭 강조할 뿐이었다.

 

900억 원에 가까운 예산을 들인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그 내부를 채우고 있는 쌀가마니나 자전거와 탈곡기, 새벽종 따위에 무슨 잘못이 있을 리는 없다. 실무를 맡아서 행정 서비스를 담당한 시청의 공무원도 마찬가지다. 국민의 세금을 퍼부어 박정희 추모사업을 기획하고 집행한 전임시장을 비롯한 정치인들, 정책적으로 보장하고 도운 국가 시스템에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들은 이미 자연인으로 돌아갔다.

 

문제는 끝나지 않았다. 현재 공정 50%로 공사 중인 박정희 역사자료관이 남았다. 관광진흥과의 실무자들은 '공사가 아마 내년 하반기는 돼야 끝날 것 같다'고 말했다. 2년 전에 시작된 공사가 아직도 지지부진인 것은 예산 탓이라곤 하지만, 속내는 서둘러 완공해야 할 이유가 없어서인지도 모른다(관련 기사 : 1천억 건물 비워놓고 기어이 박정희 유물관 지어야 하나?).

 

200억 들여 내년 하반기 완공 예정인 역사자료관은 또 뭘로 채우나

▲ 현재 50% 공정으로 공사 중인 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 내년 하반기에는 완공될 거라는데, 이 건물을 채울 내용도 적지 않은 문제다.
▲ 구미시에서 공개한 선산출장소의 박정희 유품들. 각종 기념패와 선물 상자 등이 서가에 빽뺐했다.
▲ 구미시에서 공개한 선산출장소 보관 박정희 유품. 여행용 가방과 괘종시계 같은 물건 등이 서가에 놓여 있다.
▲ 누구의 작품인지 대형 그림 액자 따위도 적지 않았다.

우람한 모습으로 건물이 올라가고 있지만 채울 내용이 마땅찮은 것은 테마공원 못잖다. 역사자료관의 전시 목록의 맨 꼭대기에 있는 게 구미시청 선산출장소 3층에 보관해온 박정희의 유품 5670점이다.

 

2018년 박정희 유품 목록을 공개하라는 구미참여연대의 요구를 구미시는 거부했다. 이에 참여연대가 소송을 제기하자 구미시에선 지난 2018년 11월 유품을 보관해온 창고를 공개했다. 참여연대와 함께 몇 개의 방 내부를 들여다 보았는데 결과는 예측과 전혀 다르지 않았다(관련 기사 : 14년 만에 공개된 박정희 유품 맥 빠지네).

 

박정희 연설문집과 그 시절을 다룬 실록, 앨범과 스크랩북, 액자에 든 그림, 괘종시계, 각종 기념패와 선물 상자, 자전거와 여행용 가방 따위 등이었다. 미국산 티파니 시계, 기어 자전거, 물소 가죽 슬리퍼, 독일제 가죽 골프가방, 가죽 재질의 여행용 가방 세트, 삼성-산요가 만든 초창기 TV, 대통령 부처가 썼다는 가죽과 패브릭 소파는 따로 확인하지 못했지만.

 

거듭하는 얘기지만, 박정희 유품을 통해서 역사자료관의 관람객들은 무엇을 환기할까. 18년 동안 유례 없는 권좌를 지키면서 종신 집권을 꿈꾸었던 절대권력자 박정희의 삶을 구성했던 시계와 가방, 슬리퍼 소파 따위의 유품을 통해서 관람객은 박정희의 '역사'를 어떻게 갈무리하게 될까.

 

찬반이 갈릴 수 있겠지만 박정희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나 '새마을운동' 또는 '조국 근대화'와 같은 정책과 이미지로 기억되는 인물이다. 그리고 그를 기리는 박정희 대통령 기념·도서관(서울), 생가 옆 박정희 민족중흥관이 이러한 정책과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미 꾸며져 있다.

 

하루 200명도 찾지 않지만, 새마을 테마공원의 전시물도 결국은 박정희를 환기하는 사물과 이미지로 채워져 있다. 거기 박제된 전근대의 유물 모형에 숨어 있는 것은 '근대화의 지도자' 박정희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그런데 다시 200억 원짜리 건물에 그가 생전에 썼다는 유품과 그와 관련된 이런저런 자료들을 전시하고 그것을 그가 전개한 '찬란한 역사의 한 장'으로 소환하려는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낭비된 국민의 세금은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다.

▲ 박정희 동상 앞 계단에 짐을 모아놓고 유치원 어린이들이 선생님 앞으로 모이고 있다. 이 아이들은 뒷날 박정희를 어떻게 기억하게 될까.

역사자료관은 생가 옆 박정희 동상 옆에 세워지고 있다. 6억 원의 성금을 모아 5m 높이로 세운 동상 앞 진입로에는 박정희의 업적을 새긴 18개의 동판이 나란했다. 날이 뜨거워지면서 동상 앞으로 뻗은 느티나무 가로수의 그늘이 시원했다.

 

선생님과 함께 견학 온 듯한 한 무리의 유치원 어린이들이 동상 앞 계단에 보조 가방을 모아놓고 그늘에 모여 있었다. 나는 아이들이 뒷날, 유년 시절에 찾았던 거대한 동상의 주인공을 어떤 방식으로 기억하게 될까 생각했다.

 

조국을 가난에서 구해낸 근대화의 지도자일까, 민주화를 압살하고 영구집권을 꿈꾸다 비명에 스러진 독재자일까.

 

2019. 7. 22. 

 

 

879억 들여 만든 애물단지 '새마을 공원'... 이게 끝이 아니다

[구미 새마을 테마공원 직접 가봤더니] 이미 골칫덩어리 테마공원... 새로운 골치 예고 역사자료관

www.ohmynews.com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