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의 탑 이야기 ②] 의성 지역 탑 기행
[안동의 탑 이야기 ①]저 혼자 서 있는 탑들
[안동의 탑 이야기 ③]‘국보 맞아?’ 잊히고 있는 우리 돌탑들
[안동의 탑 이야기 ④]천년 고탑(古塔)에 서린 세월과 역사를 되짚다
절집의 금당 앞에 자리 잡지 못하고 저 혼자 서 있는 불탑은 외로워 보인다. 옛 절터가 희미하게나마 남아 그 절의 이름을 자랑처럼 달고 선 탑들은 그래도 덜 쓸쓸해 뵌다. 그러나 어디에도 절이 있었던 흔적 따위를 찾을 수 없는 산기슭이나 호젓한 빈터에서 제 그림자를 의지하고 선 탑의 모습에서 소멸의 시간과 그 유장한 흐름이 얼핏 느껴진다.
바람 부는 경주 황룡사지에서 널찍한 금당과 목탑 터, 거대한 주춧돌을 바라보는 답사객들을 압도하는 것은 바로 그 같은 시간과 역사의 무게이다. 기껏해야 일백 년 안쪽의 자취나 남길 뿐인 인간의 생애에 비기면 오백 년이나 천 년의 시간이 갖는 중량감은 상상의 한계 너머에 있는 것이다.
부처님 나라를 꿈꾸었던 사부대중들의 두터운 불심의 오롯한 결정체인 탑은 불교의 전래 이래 가람 배치의 핵심이었다. 가람 배치는 고구려와 신라에서는 탑 하나에 금당이 셋인 일탑삼금당(一塔三金堂) 식이, 백제에서는 탑 하나에 금당도 하나인 일탑일금당 식이 주류였으나 통일신라에 접어들면서 탑이 2개인 1금당 쌍탑 식으로 변화했다고 한다.
외 탑이든 쌍탑이든 그것은 금당과 함께 가람 배치의 핵심이었으니 절집의 흔적을 간직하지 못한 채 선 외딴 탑들은 금당과는 달리 역사를 압도한 시간의 중력으로부터 살아남은 셈이다. 이 땅을 할퀴고 간 숱한 전란과 화마(火魔), 배불(排佛)의 칼바람으로부터 의연히 자신을 지킨 것은 이 땅에 흔하디흔한 돌, 그 화강암의 힘이다.
저 혼자 서 있는 불탑들
의성 지역에도 홀로 서 있는 탑은 여럿이다. 오늘(1월 1일) 찾아가는 탑은 모두 세 기. 하나는 안동시와 바로 이웃한 단촌면에, 나머지 둘은 금성면과 춘산면에 각기 하나씩 분포해 있다.
보물 188호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 삼층석탑은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몸돌을 올린, 각 부분의 장식이 풍부한 석탑이다. 높이가 3.65m에 불과한 조그마한 탑이니 무슨 웅대한 기상 따위를 찾기는 어렵다. 예전 같으면 땔나무 하는 떠꺼머리들이 지게를 받쳐두고 쉬었을 법한 마을 뒤편 산어귀에 탑은 조신하게 서 있다. 지척에 관덕리 석조보살좌상을 모셔 둔 조그만 전각이 서 있는데, 둘은 마치 의좋은 남매처럼 보이기도 한다.
탑의 아래층 기단에는 비천상, 위층 기단에는 면마다 좌우에 사천왕상과 보살상을 새겨놓았다. 아래층 기단의 네 귀퉁이에는 암수 2구씩 4구의 돌사자가 있었으나, 그중 2구는 도난당하고 남은 2구(보물 202호)는 현재 대구박물관에 있다. 이처럼 장식으로 동물을 등장시키는 경우는 경주 분황사 모전 석탑이 가장 앞서는데, 이러한 양식은 통일신라 후기까지 이어져 내려왔다고 한다.
조각 장식이 아름답고 화려한 이 석탑은 9세기 무렵, 통일신라 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답사객들은 대부분 무심코 스쳐 가지만, 상륜부에는 노반(露盤: 불탑의 맨 꼭대기 지붕 바로 위에 놓여 상륜부를 받치는 부재)이 거꾸로 놓여 있는데 그 이유는 밝혀져 있지 않다. 뭇 사람들이야 ‘거기 탑이 있었다네. 내가 그걸 보고 왔다네’로 이해할 터이니 그리 궁금해할 일은 아닐지 모른다.
나머지 불탑은 하나는 금성면 탑리에, 다른 하나는 춘산면 빙계리에 서 있는데 이들은 서로 매우 닮았다. 당연히 먼저 세워진 탑이 형님으로 격이 높아 국보가 되었고, 형님을 본뜬 아우 탑은 한 수 아래 보물이다.
의성은 삼한 시대의 부족국가인 조문국(召文國)이 도읍한 곳이다. 삼국사기에 단 한 줄의 기사로 그 존립을 전하고 있는 이 부족국가는 도읍지 주변인 금성면과 봉양면 일대의 지석묘와 금성면 탑리, 대리, 학미리에 산재한, 경덕왕릉을 비롯한 40여 기의 고분군을 통하여 침묵의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 1960년의 탑리리 고분 발굴 결과 토기, 철제 등자(鐙子)를 비롯한 유물과 함께 조문국의 왕관으로 보이는 금동관이 출토되기도 했다.
현지 사람들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주변 지역 사람들은 금성보다는 ‘탑리’를, 봉양보다는 ‘도리원’으로 이 땅을 이해한다. 금성이나 봉양은 행정명칭으로만 그 명맥을 잇고 있다는 느낌이 없지 않다. 도리원이 역원제(驛院制)에 의하여 두었던 조선시대의 원을 가리키는 이름이라면 탑리는 당연히 거기 선 오층석탑에서 비롯한 이름이다.
국보 77호 의성 탑리 오층석탑은 금성면 탑리리의 마을 가운데에 오연히 서 있다. 신라 시대 석탑의 시원(始原)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되는 이 탑은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 올린 석탑, 즉 모전(摸塼) 석탑이다. 역시 모전탑인 경주 분황사 탑을 바로 잇고 있는, 전기 통일신라 시대의 유적이다.
이 탑의 지붕돌(옥개석)은 전탑처럼 밑면뿐만 아니라 윗면까지도 층을 이루고 있는데 윗면이 6단, 아랫면이 5단이다. 지붕돌은 네 귀퉁이가 살짝 들려 있어 목조건축의 지붕 끝을 떠올리게 하는데 이는 목탑에서 석탑으로 넘어가는 과정의 한 단면이라고 한다.
널찍한 잔디밭 위에 솟은 작은 구릉 위에 세워진 이 돌탑은 그 규모만큼이나 단단하고 안정되어 보인다. 얼핏 구릿빛 질감을 주는 탑의 빛깔이나, 탑 좌우에 제멋대로 자란 굽은 소나무, 주변 여기저기에 몸을 반쯤 파묻은 바위 따위가 연출하는 풍경은 마치 이웃처럼 정겹고 일상적이다. 소나무 가지 한끝에 동네 조무래기가 날린 노란색 가오리연이 걸려 있었다.
어디에도 절집이 있었던 흔적은 없어 보인다. 국보로 지정될 만큼 아름다운 탑이건만 그 이름을 ‘○○사터 오층석탑’으로 갈무리할 수 없었던 까닭이다. 유달리, 안동을 비롯한 경북 북부 지역만이 절집 없이 혼자 선 탑들이 많은 건 아닐 터이다. 무심한 세월의 발걸음이 나무로 지은 전각보다 돌이나 전으로 만든 탑들 앞에선 무딜 수밖에 없었던 탓이리라.
형님을 빼다 박은 모전 석탑
이 탑리 오층석탑의 아우 격인 돌탑이 빙산사지(氷山寺址) 오층석탑(보물 327호)이다. 보현산 줄기 빙산 자락을 흐르는 골짜기는 삼복 때 시원한 바람이 나오고 얼음이 어는 빙혈(氷穴)을 품고 있어, 엄동설한엔 더운 김이 솟아나는 신비의 계곡으로 빙계(氷溪)란 이름을 얻었다. 기암괴석이 널린 계곡 옆의 비탈에 옹기종기 들어선 조그만 마을 위편 언덕에 이 탑은 마을을 굽어보며 외롭게 서 있다.
한눈에 형님을 빼다 박은 이 탑도 화강암으로 만든 모전 석탑이다. 형님과 달리 이 탑은 통일신라 시대에 창건했던 빙산사 옛 절터에 서 있다. 1973년 이 탑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녹유리 사리병’과 사리함 등 몇 가지 유물이 발견되기도 했으니 탑리 오층석탑에 비교하면 나름의 내력을 간직하고 있는 셈이다.
아우임을 몸소 증명이라도 하려는 듯, 지붕돌이 탑리 오층석탑에 비교해 위아래 층이 1단씩 적은 5단과 4단이고 몸피가 다소 홀쭉할 뿐, 감실을 두고 있는 점과 상륜부가 유실되고 없는 것도 닮았다. 탑리 오층석탑이 널찍한 자리에 호젓하게 소나무 몇 그루를 벗하며 서 있는 데 비해 이 아우 탑은 여러 그루의 잡목 사이의 낙엽을 딛고 다소 옹색하게 서 있다.
오후 5시께였다. 빙산사지로 오르는 좁은 돌담길의 폐가가 된 빈집 사이를 아직도 군불을 때는가, 매캐한 저녁연기가 낮게 떠다녔다. 이농으로 빈집이 늘고 아이 울음소리가 그친 지 오래인 것은 이 조그만 마을도 예외가 아니다. 전국에서 손꼽는 마늘의 생산지인 이 지역의 농민들은 FTA라는 괴물이 어떻게 그들의 삶을 망가뜨리는가를 이미 알고 있다.
저녁연기 탓인가, 산자락으로 내려오는 이내 탓인가. 잡목 사이로 언뜻 보이는 오층탑을 둘러싼 짙푸른 기운이 마치 천년의 세월에 서린 사부대중들의 업장(業障)처럼 보였다. 이 외진 산촌에서 한여름 계곡을 찾는 길손들에게 밥과 술을 팔거나 계곡 저편의 들을 일구며 살아온 순박한 농민들의 삶과 일상을 굽어보며 탑은 어쩌면, 날마다 날마다 작아지고 있는지도 모른다.
2007. 1. 16. 낮달
'이 풍진 세상에 > 안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년 고탑(古塔)에 서린 세월과 역사를 되짚다 (0) | 2019.10.01 |
---|---|
‘국보 맞아?’ 잊히고 있는 우리 돌탑들 (0) | 2019.09.30 |
군자정은 ‘그의 삶’과 함께 기억된다 (0) | 2019.09.28 |
그 정자에 ‘안빈낙도(安貧樂道)’가 보인다 (0) | 2019.09.28 |
‘풀과 물의 원림(園林)’ 20권 20책의 ‘백과 전서’를 낳았다 (0) | 2019.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