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이 풍진 세상에 /선산(구미) 이야기

다시 ‘북봉산’

by 낮달2018 2021. 5. 30.
728x90

우리 동네 뒷산, 북봉산

지난 주말에 아내와 함께 ‘마침내’(!) 북봉산에 올랐다. 가파른 우리 아파트 뒷길을 피해 이웃 아파트의 뒷길을 택했다. 조팝꽃이 하얗게 핀 산기슭을 오르자 평평하고 제법 널따란 등산로가 나타났다. 그리고 그 길은 매우 평탄하고 넉넉하게 산마루를 타고 정상으로 이어졌다.

 

대개 산이 그렇듯 북봉산은 소나무가 많은 산이다. 이 산이 4월부터 짙푸르러 보이는 것도 신록으로 옷을 갈아입는 잡목들 가운데서 소나무가 그 변함없는 푸른빛을 지켜주기 때문이다. 주말인데도 등산객은 생각만큼 많지 않았다.

 

한 시간 남짓 오르니 정자 하나가 나타났다. 산꼭대기에 정자를 세우는 것은 이 지역의 특징인 듯하다. 북봉산 정상이다. 해발 388m. 산악인들이 세운 빗돌 곁에 벽진 이씨의 한 종회가 세운 ‘북봉산의 유래’라는 안내판이 서 있다.

 

“성남촌(星南村)의 북봉산은 해발 405m 고지다. 조선조 광해군 8년(1616) 벽진인 이민선(李敏善, 1548~1626)은 가선대부 병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행 통훈대부를 지내고 낙남하여 정착한 곳이 멱우(覓于)골이며 현재까지 별남고을로 알려진다.

 

조선조 선조실록 1594년 2월 이민선은 임진왜란 때 성균관 대성전이 왜적들에 소실되자 이에 국난을 극복하려고 국왕에게 중수할 것을 상소하여, 국왕은 기꺼이 윤허를 내렸으며, 중수를 마친 후 난세를 떠나 이곳 북봉산 아래 성남촌으로 이주한 기록이다.

 

송자대전에 우암 송시열은 조선조 인조 12년 4월(1634) 영남으로 유람을 하게 된다. 우암은 동춘당 송준길과 함께 선산 성남촌에서 만나기로 한 기록에 성남촌으로 고증하고 있다. 이 사료적 근거로 보면 이민선의 아호(訝號)를 ‘북봉’이라 하고 뒷산을 ‘북봉산’(속칭 등골)이라고 한 명칭이 지금까지 전해오고 있다.”

 

전하고자 하는 뜻은 알겠는데, 정말 요령부득의 안내문이다. 대부분 문장이 비문이고 북봉산의 높이도 공식 기록과는 차이가 있다. 아호에 쓴 한자도 틀렸다. ‘雅號(아호)’가 아니라 ‘訝號’로 써 놓았는데 ‘아(訝)’는 ‘맞을 아’다. 혹시 그렇게도 쓰는가 싶어 찾아봤으나 없다.

 

우리 동네 아랫마을을 ‘별남마을’이라고들 하더니 그게 조선조 광해군 때의 문인 이민선이 마을에 정착할 때부터 써 온 오래된 이름인 모양이다. 안내판의 문맥은 이민선의 아호로 ‘북봉산’으로 부른 듯하지만, 사실은 이민선이 마을 뒷산의 아름을 따 아호로 삼은 것으로 보는 게 맞다. 사람보다 산이 먼저 있었을 터이니 말이다.

 

정자에서 물로 목을 축이고 잠시 쉬다가 바로 하산했다. 가파른 아파트 뒤쪽으로다. 정상에서 도시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데 날씨가 맑은데도 시가지는 흐릿하게 보인다. 어느 날부턴가 하산이 더 힘들어졌다. 가파른 하산길은 무릎 관절에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 다음부터 오른 길을 되짚어가자고 아내와 약속한다.

 

산을 거의 다 내려올 때쯤 소나무를 타고 있는 청설모 한 마리를 만났다. 녀석은 사진기를 피해 요령 있게 이 나무 저 나무를 오르내렸다. 산 중턱에 이르니 찔레꽃이 지고 있었다. 끝물이라 지저분해 보이지만 기실 이 흰 꽃의 기품은 놀랍다.

 

쉬엄쉬엄 오르긴 했지만 대체로 두 시간 남짓이 걸렸다. 냉면 생각이 간절해져 딸애를 불러 인근 냉면집에 가서 냉면을 먹었다. 날씨 탓일까, 손님이 꽤 많았다. 겨자를 좀 낫게 쳐서 좀 맵게 먹었다. 돌아오면서 아내와 다음 주에도 오르자고 약속을 했지만 글쎄, 언제쯤 다시 이 산에 오를 수 있을지….

2012. 5. 27. 낮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