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자락 지각 답사기] ② 지리산 노고단(老姑壇))
*PC에서는 가로 이미지를 클릭하면 큰 규격(1000×667픽셀)으로 볼 수 있음.
지리산 산행
지리산은 젊을 때 두어 차례 올랐었다. 백무동에서 장터목을 거쳐 천왕봉에 이르는 코스로 처음 올랐고, 중산리에서 천왕봉에 올라 거꾸로 장터목-백무동으로 내려오는 코스로 오른 게 두 번째다. 첫 등정 때는 남학교에 근무할 땐데, 고2 제자 두 명과 올랐고, 두 번째 동행은 교육 운동을 함께하던 동료들이었다.
모두에 ‘두어 차례’라 쓴 것은 한 차례쯤 더 올랐다고 생각해서인데, 그 한 차례가 잘 기억나지 않는 거로 보아, 그게 내 생각에 그친 것인지도 모른다. 어쨌든, 내가 지리산에 오른 것은 모두 30대 때다. 대체로 사람들은 대학 시절에 지리산에 오르곤 하는 듯한데, 내가 그러지 못한 것은 남들보다 몇 해 뒤져 대학에 들어간 데다가 바로 군대를 다녀오니 스물다섯이었고, 졸업은 스물아홉에야 할 수 있었던 탓이다. 거의 4~5년 후배들과 공부하던 시절엔 함께 산에 오르는 일도 없기도 했다.
아내가 저긴 차로 갈 수 있냐며 노고단에 가고 싶다고 말하기 시작한 게 노고단이 등장하는 텔레비전 광고가 눈길을 끌던 1999년부터다. 나는 언제 한번 가보지, 뭐 하고 호기를 부렸지만, 이십 년이 속절없이 흐른 뒤에야 나는 노고단을 다시 떠올렸다.
지리산자락으로 지리산 단풍을 보자고 떠나왔는데, 피아골에 들르니 단풍은 아직 시간이 일렀다. 우리는 조금 실망했지만, 까짓것 주변 명승지나 돌지 뭐, 하고 구례로 들어왔고, 노고단이 지척이라는 걸 깨닫고 노고단 산행을 계획한 것이다.
가보자 해놓고 20년 만에 노고단에 오르다
여행 첫날 밤을 우리는 구례의 모텔에서 잤다. 이튿날(2019.11.1.) 아침도 먹는 둥 마는 둥 하고 우리는 내처 성삼재 주차장으로 차를 몰았다. 성삼재는 남원 정령치와 함께 1985년 IBRD 차관 등 68억 원의 예산으로 1988년 서울올림픽 때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들이 지리산국립공원을 편하게 관광하기 위해서 정부가 직접 건설한 도로다.
이 도로들의 끝에 만든 주차장이 성삼재·정령치 주차장이다. 성삼재 주차장은 1100m 높이의 백두대간 마루금을 허물고 1만1112㎥ 넓이(90×45 넓이 축구장의 2.7배 크기)로 건설됐으며 정령치 주차장은 1172m 높이에 4865㎥ 넓이로 건설됐다.
이 두 도로와 주차장은 놀랍게도 국립공원 중에서도 보전의 강도가 가장 높은 자연보존지구에 건설됐다. 남원·구례 시민단체 등은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라도 차량과 사람을 불러들여 생태계를 훼손하고 있는 주차장을 폐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지리산 관통 도로의 일반차량 통행을 제한하고, 주민이 운영하는 친환경 전기버스를 도입해야 한다”라고 촉구해왔다.
1991년에 건설된 성삼재 주차장은 엄청난 크기였다. 9시가 넘지 않았는데도 주차장은 거의 차 있었다. 차를 댄 다음, 우리는 매점에서 부실한 아침 식사를 벌충하는 간식을 사 먹었다. 거기서 노고단까지는 4.7km, 1시간 이내로 갔다 올 수 있는 거리라고 해서 우리는 편안하게 출발했다.
중간에 아내가 힘들어했지만, 격려해 가며 우리는 남들보다 조금 늦게 노고단에 올랐다. 대피소를 지나서부터 시작된 급경사 돌길이 좀 힘이 들었을 뿐, 전체적으로 쉬운 산길이었다. 저만치 산마루에 노고단 돌탑이 보이는 지점에 노고단 고개가 길을 막고 있었다.
입산 시간 지정제로 통제하는 구간인데, 원칙적으로 노고단 정상 탐방은 예약제로 운영되므로 예약이 필수라 했다. 그러나 그걸 전혀 모르고 오른 우리를 담당 직원은 일단 통과시켜 주었다. 아직 날씨가 그만해서 느슨하게 운영하는가 보았다. 날씨가 험악해지는 한겨울에는 탐방을 통제하지 않으면 사고가 날 수도 있을 거였다.
저만치 보이는데도 노고단 정상(1507m)까지의 거리는 좀처럼 줄지 않았다. 정상을 향해 휘돌아가는 데크 길에는 노고단에 오르는 갖가지 차림의 남녀노소 탐방객들이 점점이 흩어져 있었다. 바람이 거세졌지만, 아직 춥다고 느껴지지는 않았다.
노고단과 ‘마고 할미’
11시 45분께 돌탑 앞에 닿았다. 노고단은 신라시대 화랑들이 수련하던 장소로 이곳에 탑과 단을 세우고 천지신명과 지리산 산신인 노고 할머니에게 나라의 번영과 백성들의 편안한 삶을 기원한 데서 유래되었다. ‘노고(老姑)’는 ‘늙은 시어머니’라는 뜻으로 민간에서 구비전승되어 온 거인 여신의 창세신화의 주인공인 마고다.
[지리산자락 지각 답사기] ① 구례 운조루(雲鳥樓) 고택
[지리산자락 지각 답사기] ③ 구례군 광의면 수월리 매천사(梅泉祠)
[지리산자락 지각 답사기] ④ 지리산 연곡사(鷰谷寺)
'이 풍진 세상에 > 여행, 그 떠남과 이름의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곡사, 나말여초에 선종의 수선(修禪) 도량으로 이름 높았다 (0) | 2022.07.25 |
---|---|
매천사, 망국의 치욕에 선비는 스스로 목숨을 거두었다 (0) | 2022.07.23 |
구례 운조루(雲鳥樓), 혹은 열린 쌀독, ‘타인능해’의 집 (0) | 2022.07.20 |
가야산 부근, 돌탑에서 야생화식물원까지 (0) | 2022.06.24 |
‘소풍’은 문의 마을로 가서 ‘도시락’은 차 안에서 먹었다 (0) | 2022.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