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겨 찻집] 종결 어미 ‘-ㄴ걸/-ㄹ걸’과 ‘걸’(것을)의 띄어쓰기
(1) 이럴 줄 알았으면 열심히 공부할 걸 그랬다.
(2) 이럴 줄 알았으면 열심히 공부할걸.
문제는 단순해 보인다. 문장 (1)의 ‘걸’은 의존 명사 ‘것’에 목적격 조사 ‘-을’이 붙어서 축약된 형태다. 의존 명사는 반드시 띄어 써야 하니까 ‘걸’을 띄어 썼다. 그런데 이게 간단치 않다. 뒤에 붙은 동사 ‘그랬다(그러다)’를 떼어보자. 그러면 띄어쓰기가 달라진다.
편집자들 가운데 (2) 문장도 ‘공부할 걸.’로 교정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이도 ‘공부할 것을’이 준 것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그리 대입해 보아도 부자연스러워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여기 쓰인 ‘걸’은 어간 ‘공부하-’에 붙은 어미 ‘-ㄹ걸’이다. 그것도 문장의 마침을 표시하는 ‘종결 어미’다. 어간과 어미는 당연히 붙여 써야 하니 ‘공부할걸’로 써야 옳다.
다음은 어미 ‘-ㄹ걸’과 ‘-ㄴ걸’의 <표준국어대사전> 풀이다.
같은 형식의 다른 문장을 보자.
(3) 이것은 책인걸.
(4) 이것은 책인 걸 몰랐어.
(3)에 쓰인 건 어미 ‘-ㄴ걸’이고, (4)에 쓰인 건 의존 명사 ‘것’에 목적격 조사 ‘-을’이 붙어 축약된 것이다.
위 예문에서 드러나는 문법 사항은 단순 명료하다. 문장을 끝맺는 구실을 하는 종결 어미 뒤엔 다른 말이 올 이유가 없다. 또 목적어인 ‘걸(것을)’ 뒤에는 서술어가 와야 문장이 완성된다. 따라서 그 띄어쓰기는 다음과 같이 해야 한다.
· ‘걸’(-ㄴ걸) 뒤에 다른 말이 오지 않으면 이는 종결 어미다. → 붙여 씀.
· ‘걸’ 뒤에 서술어가 있으면 이는 ‘것을’을 축약한 것이다. → 띄어 씀.
2021. 11. 18. 낮달
'책인걸'과 '책인 걸'? 띄어쓰기가 헷갈린다면, 주목
[가겨 찻집] 종결 어미 ‘-ㄴ걸/-ㄹ걸'’과 ‘걸’(것을)의 띄어쓰기
www.ohmynews.com
'이 풍진 세상에 > 가겨 찻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국어대사전 정보 수정-‘미망인’과 ‘기다래지다’ (0) | 2021.12.06 |
---|---|
조선일보의 ‘한자 교육’ 타령, 이제 그만 좀 합시다 (5) | 2021.12.02 |
반점과 온점, 이제 ‘쉼표’와 ‘마침표’로도! (0) | 2021.11.15 |
간판 구경, ‘고등어 & 콩나물’ (0) | 2021.11.05 |
한글날 낙수(落穗) (0) | 2021.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