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이 풍진 세상에 /가겨 찻집

뜻을 비트는 ‘~랄지’에 대하여

by 낮달2018 2021. 8. 7.
728x90
SMALL

비타민이랄지 글루코사민이랄지?

언제부턴지 모르겠다. 아마 10년도 훨씬 지난 현상 같다. 강연이나 토론에서 가끔 들었던 표현이었다. 주로 호남 지역의 사람들이 자주 썼던 표현으로 기억된다. 그건 주로 몇 가지 예를 들어서 말해야 할 때 쓰였다.

 

“이는 단위 학교 분회랄지, 시군 지회랄지, 또는 시도 지부랄지 등에서 고민하고 그 대안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주로 명사 뒤에 붙어서 쓰이는 ‘~랄지’는 굳이 분석하자면 ‘~라고 할지’의 줄임말 형태다. 처음 그 말을 들었을 때, 나는 머리를 갸웃했다. 낯선 표현이었는데 그게 ‘비문(非文)’인지 아닌지 판단하기 애매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표현은 쉽게 퍼져나갔던 것 같다.

 

활동가들이 주로 쓰던 말이었는데 어느 날부터 학자들과 정치인들이 쓰기 시작했고, 그예 일반인들도 서슴지 않고 사용하기에 이른 듯하다. 그런데 나는 이 표현이 여전히 낯설고 거북하다. 그 의미를 새기는 게 어렵지는 않은데 과연 제대로 쓰인 표현인지는 판단하기 쉽지 않아서다.

 

문제의 표현에 ‘~랄지’에 포함된 어미는 ‘ㄹ지’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추측에 대한 막연한 의문이 있는 채로 그것을 뒤 절의 사실이나 판단과 관련시키는 데 쓰는 연결 어미’라 푼다. 예문도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말이다.

 

“무엇부터 해야 할지 덤벙거리다 시간만 보냈어.”

“내가 몇 등일지 마음엔 걱정이 가득했다.”

 

요즘 사람들이 즐겨 쓰는 ‘~랄지’의 표현과는 사뭇 다르다. ‘~랄지’의 표현은 어떤 문맥에서 쓰였는지에 따라 달리 새겨야 한다. 맨 앞에 든 예문에 쓰인 ‘~랄지’는 나열의 의미를 띠니 다음과 같이 ‘~나’의 형식으로 바꿀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단위학교 분회나 시군 지회, 또는 시도 지부 등에서 고민하고 그 대안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인터넷에서 얻은 검색 결과의 예를 보자. ❶과 ❷에 쓰인 ‘~랄지’는 보조사 ‘이나’로 바꾸어도 무방할 듯싶다. 보조사 ‘이나’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받침 있는 체언이나 부사어 뒤에 붙어)여러 가지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해도 상관없음을 나타내는 보조사”로 풀이하고 있다. 예컨대 “그는 문학이나 음악이나 모두 소질이 있다./산이나 들이나 모두 초만원이다.”와 같이 쓰이는 경우다.

 

❶-1 뭐 이런 거 있잖아요. 비타민이나 글루코사민이나

❷-1 사혈 받기 전 사진이나, 부모님이나, 옆집 사람이나……

 

또 ❶과 ❷에 쓰인 ‘~랄지’는 발화의 의도를 고려하여 보조사 ‘든지’나 ‘든가’로 바꿀 수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선 이 ‘든지’를 “(받침 없는 체언이나 부사어, 또는 종결 어미 ‘-다, -ㄴ다, -는다, -라’ 따위의 뒤에 붙어) 어느 것이 선택되어도 차이가 없는 둘 이상의 일을 나열함을 나타내는” 보조사로 풀이한다.

 

❶-2 뭐 이런 거 있잖아요. 비타민이라든지 글루코사민이라든지

❷-2 사혈 받기 전 사진이라든지, 부모님이라든지, 옆집 사람이라든지……

 

❸의 경우도 ❶, ❷와 마찬가지로 ‘이나’, 또는 ‘든지’ 등의 보조사를 쓸 수 있는 경우다. 어떻게 보면 ❸은 훨씬 더 단순하다. 그냥 접속 조사 ‘와’를 붙여서 나열하면 될 문장인데, ‘~랄지’를 써서 오히려 문장의 의미를 헛갈리게 만들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마지막 ‘~랄지’의 뒤에 붙인 ‘등등’이나 ‘6, 7개 의제’를 고려하면 앞에 나열된 ‘문제’는 대등한 자격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조사를 붙이거나 반점(,)으로 구분해도 충분한 문장이다.

 

글쎄, ‘~랄지’가 쓰인 보다 다양한 사례를 가지고 확인해 보면 다른 결과가 나올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짧은 시간에 든 몇 개의 예는 이런 식의 표현이 굳이 쓰일 필요가 없다는 결론을 내는 데 충분해 보인다.

 

실제로 이 표현은 발화의 의미를 더 섬세하고 정교하게 만들기보다는 말뜻을 쓸데없이 비틀기만 할 뿐이다. 말은 단순하고 간명한 게 좋다. 복잡한 의미를 드러내려는 의도가 아니라면 말은 명확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 단순명료해야 하기 때문이다.

 

 

2013. 8. 7. 낮달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