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노벨평화상3

[오늘] 김대중, 노벨평화상 수상 김대중 대통령, 2000년 노벨 평화상 수상2000년 오늘, 고 김대중(1924~2009) 전 대통령은 노르웨이 오슬로 시청 메인 홀에서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홀은 그가 추진해 온, 남북 화해를 위한 햇볕정책을 상징하는 노란 꽃으로 장식되어 있었다. 김대중은 같은 해 6월,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6·15선언’을 이끌어낸 바 있었다. [관련 글 : 6·15 - 남북 정상, ‘평화와 통일’을 위한 최초의 악수] 두 달 전인 10월 13일, 노르웨이 노벨위원회에서는 '한국과 동아시아의 민주주의와 인권 신장 및 북한과의 화해와 평화에 기여'한 한국의 김대중 대통령을 2000년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노벨위원회 위원장 군나르 베르게가 밝힌 선정 이유는 짧았지만, 김대중이 감내한 수난과 고통의 삶.. 2024. 12. 10.
[오늘] 6·15 - 남북 정상, ‘평화와 통일’을 위한 최초의 악수 [역사 공부 ‘오늘’] 2000년 6월 15일, 김대중·김정일의 역사적 ‘남북공동선언’2000년 오늘(6월 15일), 북한의 수도 평양에서 대한민국 대통령 김대중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장 김정일이 남북 공동선언을 발표하였다. 그것은 남북 정상이 역사상 처음으로 만나 이틀간(6.13~15.)의 회담 끝에 이루어낸 값진 결실이었다.  반세기만의 만남, ‘평화와 통일’ 논의 한민족이면서 남북의 정상이 만나는 데는 무려 반세기 이상의 시간이 필요했다. 동족상잔의 전쟁까지 치러야 했던 남북의 정상이 만나게 된 것은 분단의 질곡을 넘으려면 필요한 것이 ‘이념’ 아닌 ‘민족 동질성’이란 점을 확인하였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52년 만에 만난 남과 북의 최고 당국자들이 비록 초보적인 수준이긴 하지만 ‘평화’와.. 2024. 6. 14.
DJ의 죽음으로 그들은 그 감옥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김대중 10주기] 다시 ‘김대중’을 생각한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세상을 떠난 지 벌써 10년이 흘렀다. 그는 박정희와 유신독재가 만든 지역감정과 반공 이데올로기의 최대 피해자이자 희생자였다. 그는 국민의 절반에게는 자유 민주주의 지도자로 추앙받았지만, 나머지 절반으로부터는 경원당한 정치인이었다. 그는 한국 정치사에서 가장 뛰어난 경륜을 가진 정치인이었지만, 그것을 인정한 주권자는 절반에 그쳤다. 그는 일평생 지역감정과 반공 이데올로기와 싸워야 했고 영남사람들의 편견과 멸시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지역감정과 반공 이데올로기에 피해를 보았고 편견과 멸시를 당했지만, 그것은 그의 책임이 아니었다. 그가 감내해야 했던 지역감정과 이데올로기, 편견과 멸시는 어떤 합당한 근거도 없는 가해 측의 일방적인 재단이었을 .. 2019. 8. 16.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