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이 풍진 세상에 /역사 공부 「오늘」

[오늘] 박열·가네코 부부, 대역죄로 사형을 선고받다

by 낮달2018 2024. 3. 25.
728x90
SMALL

[역사 공부 오늘’] 1926325, 박열 부부 대역죄로 사형을 선고받다

▲ 1923년 10월 24일, 박열과 가네코는 대역죄로 기소되었다. 사진은 공판이 열리던 재판정의 모습.
▲ 영화 <박열>(박열 감독, 2017)의 법정 장면. 배우 이제훈이 박열로 분했다.

1926년 오늘(325), 일본의 최고재판소인 대심원에서 대역죄로 기소된 조선인 아나키스트 박열(朴烈, 1902~1974)과 그의 일본인 부인 가네코 후미코(金子文子, 1903~1926)의 결심 공판이 열렸다. 정복과 사복 차림의 경찰 200여 명과 헌병 30명이 법정 출입자를 삼엄하게 검문하는 등 법원 안팎을 통제하고 있었다.

 

박열·가네코 부부, 대역죄로 사형을 선고받다

 

 재판장은 선고 전에 일어설 것은 명했지만 피고들은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았다. 재판장은 형법 제73조 대역(大逆)’죄와 폭발물 단속벌칙 위반으로 이 부부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후미코는 벌떡 일어나 만세를 불렀고 박열도 재판은 비열한 연극이다!”라고 외쳤다. 퇴정하는 판사를 향해 박열이 덧붙였다.

 

재판장! 자네도 수고했네. 내 육체야 자네들이 죽일 수 있지만 내 정신이야 어찌하겠는가?”

 

두 사람이 경찰에 체포된 것은 관동대지진(1923. 9. 1.) 발생 이틀 후인 93일이었다. 정오 무렵 도쿄 일대에 대지진이 발생하면서 10만여 명이 사망하고 수십만 동의 건물이 무너지거나 화재로 불타오르는 상황에서 조선인을 겨냥한 유언비어가 퍼져 나갔다. [관련 글 : 1923년 오늘,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회주의자와 조선인에 의한 방화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조선인이 도쿄시 전멸을 기도하여 폭탄을 투척할 뿐 아니라 독약을 사용하여 살해를 기도하고 있다.”

 

정부는 계엄령을 발동하고 군대를 출동시키면서 조선인 폭동을 진압하기 위한 조치라고 발표했다. 이는 대지진의 공포를 조선인과 아나키스트, 사회주의자 등에 대한 증오로 돌리려는 일본 극우세력의 조직적 음모였다.

 

저명한 아나키스트 오스기 사카에(大杉栄)와 그의 6살짜리 조카, 페미니스트 사회주의자이자 오스기의 아내인 이토 노에(伊藤野枝)가 살해된 것도 이때였다. 아마카스 마사히코(甘粕正彦) 중위가 이끄는 헌병들은 이들을 체포한 뒤 죽을 때까지 구타한 뒤, 그 시신을 우물에다 유기하였다.

 

이어서 수천에서 수만에 이르는 재일 조선인들이 학살되었다. 자경단에 학살당한 상당수 희생자는 암매장되었다. 학살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는 도쿄에 흐르는 하천, 스미다가와(隅田川)와 아라카와(荒川)가 떠내려오는 시체 때문에 피로 물들었을 정도였다.

 

일본 군부와 경찰은 93일부터 불령선인들을 수색하고 선량한 조선인들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한인들을 검거 구속했다.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는 물론 정태성·장상중·최규종·홍진유 등 지난 4월 조직한 비밀결사 불령사(不逞社) 회원들이 일제히 체포되었다.

 

다음 달 24, 일제는 두 사람을 대역죄 혐의로 구속기소 했다. 일본 경찰의 취조 도중 박열의 폭탄 구입 계획이 알려지게 되었고, 일본 정부와 검찰은 이를 천황 암살을 꾀한 대역사건으로 규정하였던 것이다.

 

아나키스트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의 만남

▲ 1922년 7월에 창간된 <흑도>. 네 쪽자리 신문 형식이다.
▲ 1926년 1월 1일 <동아일보>에 실린 박열의 옥중시 ⓒ 기념관 전시물 촬영

박열은 문경 사람이다. 함창공립보통학교를 거쳐 경성고등보통학교 사범과에서 수학했다. 3학년 때인 1919, 3·1독립만세운동에 참여했다가 학교를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세이소쿠(正則)영어학교에 다녔다. 이듬해에는 일본의 사상가이며 아나키스트인 오스기 사카에(大杉榮) 등과 교유했고 도쿄(東京)의 조선인 학생들과 의거단(義擧團)’을 결성했다.

 

19214, 경성에서 이강하 등과 함께 조선 최초의 무정부주의 단체 흑로회(黑勞會) 조직했다. 11월에는 김약수, 조봉암, 서상일, 황석우 등 조선인 무정부주의자, 사회주의자와 동경 흑도회(黑濤會)를 창립했다.

 

1920년대 재일 한인 아나키스트들은 자아의 해방과 민중의 직접행동에 따라 일제의 식민통치에 맞서 테러 활동으로 저항했고, ‘상호부조론자유연합주의로 지배와 권력이 없는 신사회 건설을 추구하며 독자적인 민족운동을 전개하였다.

 

1922, 그는 운명의 여인 가네코 후미코를 만난다. 가네코는 후세 다쓰지(布施辰治, 1880~1953)와 함께 이 시기 한인 아나키스트와 연대한 대표적 반전 활동가였다. 19살 때 도쿄에서 사회주의와 아나키즘을 접한 가네코는 박열을 만나 비밀결사 불령사(不逞社)’를 결성하여 조선의 독립운동을 후원하고, 일본 천황제 타도를 지향하였다.

 

가네코는 박열과 함께 일본 민중을 억압하면서 식민지 조선을 지배하는 천황제에 반대하여 조선 민족과의 공동투쟁을 선언하였다. 그녀는 잡지 <청년 조선> 교정 중 박열의 시 개새끼를 읽고 감동했고 5월부터 그와 동거를 시작했다.

 

나는 개새끼로소이다.

하늘을 보고 짖는

달을 보고 짖는

보잘것없는 나는

개새끼로소이다.

높은 양반의 가랑이에서

뜨거운 것이 쏟아져

내가 목욕을 할 때

나도 그의 다리에다

뜨거운 줄기를 뿜어대는

나는 개새끼로소이다.

▲ 옥중에서 박열과 가네코. 이 사진으로 판사는 사직, 와카쓰키 내각은 총사퇴했다. 영화 <박열>에서 재현된 장면

박열은 가네코와 함께 흑도회의 기관지 <흑도(黑濤)>를 창간했다. 이후 그는 니이가타(新潟)현 탄광 조선인 노동자 100여 명 살해사건의 진상규명을 위한 항의투쟁을 벌였다. 시노가와(中津川)댐 공사 조선인 학살사건 현장조사 등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 1923년 <후토이 센징>을 개제해 펴낸 <현사회>

1923년 관동대지진 시기에 보호 검속의 명목으로 체포되었던 박열 부부가 대역죄로 기소된 것은 뜻밖이었다. 두 사람이 천황과 황태자에 대한 폭탄투척을 계획한 것은 사실이었다. 박열은 192311월로 예정된 왕세자 히로히토(裕仁)의 결혼식을 염두에 두고 여러 차례에 걸쳐 여러 경로로 폭탄을 구하기 위해 애썼지만 모두 실패했기 때문이다.

 

(1) 1921년 12월 외항선원 모리다(森田)를 통해 외국에서 폭탄을 사들일 것을 논의하기도 하고약국 수백 군데에서 폭약 판매 허용치인 0.02g씩을 사 모아 폭약을 제조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2) 1922년 9박열은 서울에서 의열단과 관계있는 김한을 만나 폭탄 구매를 요청했다.

(3) 1923년 1김한이 의열단원 김상옥의 서울 종로경찰서 폭탄 투척 사건과 관련되어 체포되자 박열은 김중한에게 폭탄을 구해달라고 요청했다가 다른 방법을 쓰기로 하고 이를 철회했다.

 

물적 증거는 전혀 없었지만, 일경의 신문 과정에서 박열은 일왕을 폭살하려고 폭탄을 사들이려 했음을 당당히 밝혔다. 특히 그는 예심(豫審) 법정에서 다음 네 가지 조건을 제시하여 관철했다. 일본 사법부로선 치욕적 요구인데도 재판부는 우등국가를 과시하고 피고의 협조를 얻기 위해 이를 받아들인 것이다.

 

(1) 나는 피고가 아니라 조선 민족의 대표로서 조선 주권을 강탈한 일본 대표와 담판하는 위치에 있다.

(2) 좌석은 재판장과 대등한 높이의 좌석으로 한다.

(3) 나는 조선 예복으로 정장하고 조선 국어를 사용한다.

(4) 재판 전에는 조선 민족 대표로서 선언문을 낭독한다.

 

옥중에서 부부가 되다

 

 이후 박열은 사모관대에 조선 관리의 예복인 조복(朝服)을 차려입고 사선(紗扇)까지 들고, 가네코는 흰 저고리, 검은 치마 차림에 머리까지 조선식으로 쪽진 모습으로 재판을 받았다. 두 사람은 사형선고를 이틀 앞둔 323, 옥중에서 정식으로 혼인 신고서를 제출함으로써 합법적인 부부가 되었다.

후미코는 재판정에서 나는 박열을 사랑한다. 그의 모든 결점과 과실을 넘어 사랑한다……. 우리 둘을 함께 단두대에 세워 달라. 함께 죽는다면 나는 만족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 박열 부부의 의거를 보도한 당시 조선일보 기사(1925년 11월 25일). 검찰의 사형구형을 전하고 있다.

두 사람은 열흘 후인 45, 대역 사건으로는 이례적으로 무기로 감형되었다. 박열은 이치가야(市谷) 형무소로, 가네코는 도치기현 우쓰노미야(宇都宮) 형무소로 이감되었다. 뒷날 두 사람이 옥중에서 찍은 사진이 공개되면서 일본에 큰 여파를 일으켜 사진 촬영을 허가한 판사가 사퇴하고 와카쓰키(若槻) 내각이 무너지기도 했다.

▲ 고작 스물세 살에 삶을 마감한 여성 혁명가 가네코 후미코는 남편의 조국 땅에 홀로 잠들어 있다.
▲ 박열의사기념관의 전시물. '박열의 동반자 가네코 후미코'
▲ 박열의사기념관의 전시물, '박열의 후원자 후세 변호사'. 한국 정부는 2004년 그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가네코는 일본국가 권력의 폭력에 대항하여 법정투쟁을 전개하였고, 우쓰노미야 형무소에 갇힌 후에도 전향 공작을 뿌리치고 비전향을 관철하다가 1926723일 복역 중이던 우쓰노미야 형무소에서 교살된 시체로 발견되었다.

 

형무소 측은 자살로 발표했지만, 부부의 변호를 맡았던 아나키스트 동지 후세 다쓰지(布施辰治, 1880~1953) 변호사와 원심창(元心昌) 등 흑우회원들의 사인 규명과 시신 인도 요구를 모두 거절해 타살 의혹이 짙었다. 그녀의 나이는 고작 스물세 살이었다.

 

가네코는 죽고 박열은 옥중 전향… 222개월 복역

 

박열의 변호인으로 시종일관 무죄를 주장했고 선고 공판을 앞두고 두 사람의 옥중 결혼 수속도 밟아 주었던 다쓰지 변호사는 그의 유골을 수습했다. 박열은 형에게 부탁하여 가네코의 유골을 고향 선산에 안장하게 했다. 일경의 감시를 받으며 가네코는 남편의 고향인 주흘산 자락 팔영리 중턱에 묻혔다.

▲ 1945년 10월 27일, 박열 출옥 환영대회가 열린 오오다테역 광장. 1만5천이 운집했다고 한다. ⓒ 독립기념관

전향을 거부한 채 옥중에서 자살한 가네코 후미코와 달리 박열은 9년 뒤인 1935년에 전향해 저 역시 천황폐하의 적자로서응분의 책무와 분담의 광영을 부여받은 것을 생각하면 매우 기쁘다”(193589일 자 <동아일보> 보도)고 말했다.

 

1938년에는 현영섭의 내선일체론 조선인이 나아가야 할 길에 찬동하여 신속히 내지(일본)인과 합체하여 새로운 민족을 형성하고 빨리 내선융화를 완성하여 한일합병의 결실을 거둘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표명했다. 1945년 출소 뒤에도 전향 이후 일본인으로 살기로 맹세한 이상 사회가 받아들여 주지 않더라도 나는 일본인으로 살고 싶다. 이것은 폐하의 능위(稜威 : 천황의 위엄과 권위)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 기사 : 서경식, 쓰라린 진실- 영화 박열을 보고(<한겨레> 2018.5.31.)]

 

1945년 해방이 되자 많은 독립운동가가 속속 감옥에서 풀려나왔지만, 박열은 곧바로 석방되지 않았다. 동포들이 여러 차례 석방을 청원하는 시위와 탄원을 계속한 끝에 마침내 박열은 아키타(秋田) 형무소에서 석방되었다. 19451027, 222개월 만이었다.

 

박열은 19462월 백범 김구의 부탁을 받아 3의사(윤봉길, 이봉창, 백정기) 유해봉환 추진위원장을 맡아 세 분의 유해를 발굴, 무사히 본국으로 보냈다. 같은 해 10, 재일조선거류민단을 창단하고 단장이 되어 19495월 영구 귀국할 때까지 도쿄에 머물렀다.

▲ 전쟁 중 납북된 박열은 북한에서 1974년에 사망하여 애국열사릉에 묻혀 있다. 공원의 박열 추모비.
▲ 박열의사기념사업회가 주축이 되어 경북 문경시 마성면 샘골길에 2012년 개관한 박열의사기념관.

19506월 한국전쟁이 발발한 뒤 박열은 서울에서 납북되었다. 대부분의 납북 인사들이 북한의 역사에서 사라져 버렸지만, 그는 끝내 살아남았다. 1974117, 북한 당국은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장 박열의 죽음을 알렸다.

 

1989년 정부는 박열 의사에게 대한민국 건국훈장 대통령장(85)을 추서했다. 2001년 박열의사기념사업회가 설립된 뒤 조성되기 시작한 박열의사기념공원 안 산기슭에 가네코 후미코의 묘소가 이전(2003)되었다. 2012년 문경시 마성면 샘골길에 마침내 박열의사기념관이 문을 열었다.

 

323일 오후에 찾은 박열의사기념관은 산을 등지고 꽤 큰 규모로 서 있었다. 주차장에 관광버스 한 대가 서 있었고, 견학을 마친 듯 대학생들이 기념관을 막 나오고 있었다. 기념관은 잊힌 한 혁명가 내외의 삶을 시청각적으로 복원해 놓았다.

 

공원 한쪽 산기슭에 있는 가네코의 무덤을 지나며 식민지 청년을 사랑했던 일본인 여성 혁명가를 생각했다. 그는 고작 스물셋으로 삶을 마감하고 남편의 조국 땅에 묻혔고 해방 조국으로 돌아온 남편은 타의에 의해 다른 삶을 살아야 했다. 기념관 벽면에 흐르고 있는 영상 속에 새겨져 있었던 박열의 어록을 나는 잠깐 떠올리고 있었다.

 

나는 사고하고 행동한다.

온몸을 바쳐온 독립운동의 일꾼으로서 한 병졸로서 일한다.

나의 사상과 행동은 언제나 올바르고 보다 정의로운 것을 지표로 한다.”

   - 박열, “신조선혁명론에서

 

 

2017. 3. 24. 낮달

 

 

* 여성 혁명가 가네코 후미코(金子文子, 1903~1926) 여사도 지난해 11월 순국선열의 날에 건국훈장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그가 단지 박열의 아내만이 아니라, 한 사람의 당당한 혁명가로 추인받은 것이다. [관련 기사 : 가네코 후미코, 그는 단지 박열의 아내가 아니었다]

 

박열의 전향에 관해서는 서경식의 글만을 인용했으나 이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논란을 판단하는 대신 <박열의 전향에 대한 박열기념관의 입장>을 링크한다.  이에 대한 연구도 일정하게 이루어진 듯하다.  [ 박열 전향의혹에 대한 기념관의 입장]

 

 

 

* 참고

· 열의사기념관 누리집

· <위키백과> 등 백과사전

· <영남일보> 기사

· <중앙일보> 기사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