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이 풍진 세상에 /길 위에서

‘그 바다’, ‘현해탄’이 아니라 ‘대한해협’이다

by 낮달2018 2022. 7. 1.
728x90
SMALL

백년 넘게 잘못 써 온 ‘현해탄’, 버릴 때가 되었다

▲ 영화 <현해탄은 알고 있다>의 포스터(1961)

블로그에 쓰고 있는 꼭지 <역사 공부 ‘오늘’>에서 김우진과 윤심덕의 정사를 다룬 글을 쓴 게 2017년 8월이다. 제목이 “1920년대식 애정 증명’? 김우진과 윤심덕, 현해탄에서 지다”였는데, 어떤 독자가 댓글에서 ‘현해탄’이 아니라 ‘대한해협’으로 써야 옳다고 지적해 주어서 나는 사실을 확인하고 제목을 고쳤다.

 

‘현해탄’은 ‘대한해협’이 아닌, 일본의 ‘조그만 바다’다

 

많은 한국인이 한국과 일본 사이의 바다를 ‘현해탄’이라 쓰는 것은 ‘현해탄’을 쓰시마 해협이나 대한해협(Korea straits)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 현해탄은 대한해협을 지칭하는 일본식 지리 용어이므로 ‘식민지 언어의 잔재’라 보는 의견도 있지만, 이 역시 사실과 다르다고 한다.

 

아래 <표준국어대사전>과 <다음한국어사전>에서 각각 확인할 수 있듯, 현해탄은 ‘대한해협 남쪽’에 있고, ‘우리나라와 규슈를 잇는 통로’, ‘수심이 얕고 풍파가 심한 바다’다. 일본어 발음은 ‘겐카이나다(Genkainada)’다. 우리는 ‘현해탄’이라고 쓰지만, 일본에서는 ‘현계탄(玄界灘)’이라고 쓰는 경우가 더 많다고 한다. 현해탄이든 현계탄이든 발음은 같기 때문이다.

▲ 국어사전에서의 '현해탄' 풀이

아래는 일본 구글에서 검색해 받은 현해탄 지도다. 세부적인 내용과 관계없이 현해탄이 쓰시마 아래 이키섬과 후쿠오카 앞바다 사이의 해역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현해탄은 쓰시마 해협에 속하는 작은 바다다. 따라서 우리나라 동남부와 일본열도의 규슈(九州) 사이에 있는 해협인 대한해협과 같은 의미로 쓰여서는 안 된다.

▲ 현해탄은 한일 사이의 바다가 아니라, 일본의 쓰시마와 후쿠오카 사이의 조그만 바다일 뿐이다.

‘현해탄’에서 쓴 ‘탄(灘)’은 ‘여울’의 뜻이다. 시냇물, 또는 하천에 실려 내려온 흙이나 돌 등이 좁고 기운 지형에 쌓이면서 생긴 물의 길목을 이르는 말이다. 경북 청송에 있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명소인 ‘백석탄(白石灘)’ 같은 데에나 쓰는 ‘탄’을 일본에서 바다를 지칭하는 말로 쓴 이유는 알 수 없다.

 

잘못 써 온 백 년, 이제 버릴 때가 되었다

 

현해탄이 대한해협의 뜻으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언제일까. 인터넷 검색으로는 어떤 정보도 확인할 수 없다. 제한된 정보이긴 하지만, 그런 쓰임으로 가장 오래된 것은 임화의 시 ‘현해탄’(1938)이 있다. 임화는 식민지 조선과 일본을 잇는 바다를 바라보며 근대 문명이 들어오는 통로이면서, 제국주의 침략의 경로이기도 한 모순의 바다를 노래했다.

 

청년들아! / 그대들의 조약돌보다 가볍게 / 현해(玄海)의 물결을 걷어찼다. / 그러나 관문 해협 저쪽 / 이른 봄바람은 / 과연 반도의 북풍보다 따사로웠는가? / 정다운 부산 부두 위 / 대륙의 물결은 / 정녕 현해탄보다도 얕았는가? - 임화, ‘현해탄’ 중에서

 

임화가 왜 현해탄을 대한해협 대신 썼는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1905년부터 한일 간을 잇던 뱃길 부관연락선(부산-시모노세키)이 현해탄을 지나갔나 싶어서 현재의 항로를 살펴보았다. 부관 페리호는 쓰시마 북쪽을 지나 직선 항로로 바로 기타큐슈시 쪽으로 빠지니, 굳이 후쿠오카 앞바다로 돌 이유가 없다. (위 지도 참조)

▲ 2016년 YTN에서 제작 방영한 프로그램 <현해탄의 가교, 자이니치> ⓒ YTN 화면 갈무리

그런데도 현해탄은 전방위로 쓰인다. 영화 <현해탄은 알고 있다>(1961)를 비롯하여, 문희옥이 부른 대중가요 ‘현해탄’(1993), 와이티엔(YTN)의 방송 프로그램 <YTN 스페셜 현해탄의 가교, 자이니치>(2016) 등에서 현해탄이 쓰인 것이다.

 

특히 김우진과 윤심덕의 정사가 현해탄에서 이루어졌다는 표현은 사실에서 어긋난다. 연락선이 가지도 않은 항로에 무슨 수로 두 연인이 몸을 던졌단 말인가. 바다가 이어졌다고 해서 ‘동해’가 ‘다도해’가 될 수는 없지 않은가 말이다.

 

뜻이 오인되어 100년 넘게 현해탄이 쓰인 것은 ‘현해탄’을 아우르는 배경들이 가진 힘 때문일까. 1905년 첫 연락선 이키마루(壹岐丸)로 시작된 뱃길로 한일 양국이 이어졌지만, 그것은 호혜 평등의 항로는 아니었다. 이 연락선으로 이어지는 뱃길로 동아시아 일대가 일제의 영향권 내로 편입되었다.

 

부관연락선은 ‘일제의 대륙침략과 조선인 강제 동원의 연결창구’였다. 이 배편은 신천지를 찾아 조선과 만주로 이주하려는 일본인들뿐 아니라 징용에 끌려가거나 일제의 수탈로 농토를 잃고 값싸고 풍부한 노동력 수탈의 대상이 되어 이른바 ‘내지(內地)’로 건너가려는 숱한 조선인들을 실어 날랐기 때문이다.

 

언제까지 ‘개인의 선택’에 맡길 건가

 

임화가 시의 소재와 제목으로 쓸 만큼 현해탄이 시적 의미가 남달랐던가, ‘검은 바다 여울’이라는 뜻은 충분히 시적 울림이 있긴 하다. ‘대한해협’이라는 지시적 의미보다는 비유적 의미로 느껴지는 ‘현해탄’ 쓰기가 훨씬 풍부한 공감대가 있었을 수도 있다.

 

그러나 100년은 좀 심했지 않은가. 그간 이와 관련하여 ‘현해탄’을 써서는 안 된다는 논의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국립국어원에서 발행하는 계간지 <새국어생활> 제9권(1999년 가을)에 이진원 씨(부산일보사 기획출판부)가 독자 투고 “‘현해탄’이란 말 쓰지 말자”로 이를 지적했다. 2006년에는 서현우 작가가 <통일뉴스>에 “대한해협을 현해탄이라니”라는 글을 기고하여 현해탄 쓰기가 부당함을 역설했다.

 

그러나 이들의 주장과 제언은 별다른 반향을 얻지 못한 듯하다. 지금도 ‘현해탄’은 대부분의 언론매체는 말할 것도 없고, 많은 사람이 이를 의심 없이 사용하고 있다. <국어사전>들에 등재된 ‘현해탄’의 진실은 아랑곳하지 않는 것이다.

 

서현우 작가는 앞의 글에서 ‘대한해협’의 지리학적 개념을 다음과 같이 명확히 하고 있다. 언제까지 일본의 조그만 바다를 대한해협을 대체하는 낱말로 계속 쓸 것인가. 개인의 선택에 맡길 일이 아니라, 국어원 같은 기관에서 공식적으로 이를 지적해 주는 게 옳지 않을는지.

 

국제적으로 공인된 지리 용어에 의하면, 대한해협(Korea Straits)이란 한반도 동남해안에서 일본 본토의 혼슈(本州) 서남과 큐슈(九州) 북서부 해안에 이르는 해역을 통칭하여 일컫는다. 또한 쓰시마(對馬島) 해협이란 대한해협의 일부분으로, 해역 중간의 쓰시마에서 혼슈와 큐슈까지의 일본 본토에 이르는 동쪽 해역을 말한다.

 

반복하여 말한다면 대한해협은 해역 전체를 지칭하는 것이고, 쓰시마 해협은 그에 속하는 쓰시마로부터 일본 본토까지의 동쪽 해역을 지칭하는 국제지리학적 용어이다. 그런데도 한국인의 상당수는 쓰시마 해협이 마치 대한해협 전체를 지칭하는 일본어 용어인 것으로 잘못 인식하고 있다.

   - 서현우, “대한해협을 현해탄이라니” 중에서

 
                                                                                              2022. 6. 30. 낮달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