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타자기2

[오늘] 공병우, ‘세벌식 글자판’ 통일 못 이루고 떠나다 [역사 공부 ‘오늘’] 1995년 3월 7일, 한글 운동가 공병우 박사 타계1995년 오늘(3월 7일)은 유명 안과 의사이자 한글 운동가 공병우(公炳禹,1906~1995) 박사가 노환으로 타계했다. 향년 89세. 안과의사로 특이하게 한글 전용 운동과 한글 기계화와 전산화에 크게 이바지한 공병우는 유언도 남달랐다. “나의 죽음을 세상에 알리지 말고, 장례식도 치르지 말라. 쓸 만한 장기는 모두 기증하고 남은 시신도 해부용으로 기증하라. 죽어서 땅 한 평을 차지하느니 차라리 그 자리에 콩을 심는 게 낫다. 유산은 맹인 복지를 위해 써라.” 장례 후, 유족들은 후진들의 의학 교육에 도움을 주라는 유지에 따라 그의 시신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 해부학 실습을 위해 기증하였다. 그는 죽어서도 자신의 몸을 후학들의 .. 2024. 3. 7.
다시 만년필을 쓰고 싶다 나의 손글씨 쓰기 ‘연필깎이’ 세대는 지금 몇 살쯤 되었을까. 학교 교무실에도 연필깎이 하나가 비치되어 있다. 저걸 누가 쓰나 싶었는데 3, 40대 교사들이 그걸 아주 자연스럽게 쓰는 걸 보고 감탄을 금치 못했다. 나는 연필깎이의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한 채 자라서 우리 아이들 초등학교 다닐 때 가끔 연필을 깎아 준 게 연필깎이에 대한 기억의 전부이니 말이다. 우린 초등학교 때 늘 문구용 칼로 연필을 깎았다. 연필 깎는 데도 타고난 재주 같은 게 있다. 어떤 친구들은 몸통을 길쭉하고 미끈하게 깎아내고 심도 적당히 쓸어 연필이 아주 모양이 났지만 그게 마음대로 되는 게 아니었다. 시작은 그럴듯하게 하는데 깎다 보면 어느새 몸통은 물론이거니와 심도 못난이 모양이 되고 마는 것이었다. 한동안 우리 집에 머물며 .. 2019. 1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