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이무영 문학비2

“친일파는 죽어서도 이런 풍경을 누리는구나” [친일문학 기행] 이무영 문학비, 채만식·서정주·이원수 문학관을 찾아 블로그에 ‘친일문학 이야기’를 쓰기 시작한 것은 4년 전이다. (관련 글 : 친일문학 이야기) 일반에 널리 알려진 문인 중심으로 이광수부터 최정희까지 19명을 이태에 걸쳐 다루고 한동안 쉬었다. 2016년 여름에 한국문인협회가 육당 최남선과 춘원 이광수를 기리는 문학상을 제정하겠다고 나섰다가 여론의 몰매를 맞을 때 다시 글을 이어갔다. (관련 글 : 춘원과 육당의 문학상 제정? 뜬금없고 생뚱맞다) 이듬해, “친일문인 기념문학상에도 ‘기억 투쟁’이 필요하다”는 글을 쓴 것은 한 출판사가 2016년 12월에 이 두 사람을 기리는 상을 제정하여 시상까지 한 게 뒤늦게 드러나면서다. 한쪽에선 식민지 역사 청산을 부르짖는데 다른 한편에선 역사적.. 2018. 12. 19.
이무영, ‘조선예술상 총독상’을 수상한 농촌소설가 *이 글은 2019년 5월에 출판된 단행본『부역자들-친일 문인의 민낯』(인문서원)의 초고임. [관련 기사 : 30년 문학 교사가 추적한 친일 문인의 민낯] 배경은 중일전쟁부터 태평양전쟁이 일어나 일본이 홍콩을 점령할 때까지다. ‘청기와집’이라 불리는 양반 권씨 집안이 있다. 이 집안이 식민지 ‘조선’을 상징한다면 이 집안의 3대는 각각 그 시대의 사상을 상징하는 존재다. 가장인 권 대감은 ‘지나(支那)에 대한 사대주의’를, 아들 수봉은 ‘영미 제일주의’, 손자 인철은 ‘일본’으로 상징되는 신사상을 대변한다. 소설의 대단원에서 조부는 세상을 떠나고 수봉은 마음을 바꾸어 조선신궁을 참배하게 되며, ‘젊은 일본’을 상징하는 손자 인철은 꿋꿋하게 개간사업에 몰두하게 된다. 작가 이무영이 쓴 친일 장편 소설 ‘청.. 2018.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