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연대5

[순국(殉國)] 1930년 오늘 - 청산리의 김좌진, 흉탄에 스러지다 1930년 1월 24일, 김좌진 장군 흉탄에 스러지다 1930년 새해를 김좌진(金佐鎭, 1889~1930)은 활기차게 맞았다. 지난해 7월 김좌진의 신민부가 김종진, 이을규, 이강훈 등의 아나키스트와 연대하여 결성한 재만한족총연합회(한족총련)가 북만주 지역의 독립운동에 새 바람을 일으키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1월 하순 어느 날, 그는 중동선(中東線) 산시역 근처에 있던 한족총련 소속의 도정공장으로 나갔다. 중동선 일대의 한인들이 생산한 수만 석의 미곡을 도정하여 위탁 판매하는 과정에서 중국 상인들에게 농단 당하지 않게 설치한 정미소였다. 이 공장에서 김좌진은 조선공산당 만주총국 소속의 한인 박상실의 총에 맞는다. 1930년 1월 24일 오후 4시였다. 향년 41세. 1920년 항일무장투쟁사에 빛나는 청산.. 2024. 1. 24.
교사들, ‘풍등’에 마음을 담아 날리다 [사진] ‘전교조 탄압중단과 참교육 지키기 경북 교사 문화제’ 풍경 오랜만에 집회가 열렸다. 대부분의 초중고는 방학에 들어갔고 휴가를 즐기다 달려온 수백의 교사들은 맞춤한 저녁 7시에 경상북도 교육청 앞마당에 모였다. 분지 특유의 습한 바람이 불고 있었지만 까짓것, 오랜만에 동지들을 만나는데 그쯤이야 참을 만하다. 전교조 경북지부가 ‘교사 대량징계 방침’에 저항하며 도 교육청 현관 앞에서 농성에 들어간 지 42일째다. 농성 8일째 잠깐 들렀으니 그새 한 달이 훌쩍 지나갔다. 내게야 ‘훌쩍’ 흐르고 만 시간이었지만 더위와 싸우면서 ‘성을 지켜’[농성(籠城)] 온 지부장과 농성 교사들에게 그 한 달은 끔찍하였다는 것밖에 달리 표현할 길이 없다. ‘전교조 탄압중단과 참교육 지키기 경북 교사 문화제’다. 연일 .. 2021. 7. 21.
그 아이들과의 10년, 1998년에서 2008년까지 약속대로 10년 만에 다시 만난 제자들 10년이란 시간 속에 담긴 변화와 그 의미는 어떤 것일까. 꼭 10년 전(1998년)에 나는 한 시골 고등학교의 3학년 담임을 맡았다. 인연이 닿아서였겠지만, 1학년 때에 이어 두 번째로 나는 그 아이들을 만났다. 이미 서로를 알 만큼은 아는 사이여서 우리는 아주 편안하게 한 해를 함께했다. 이듬해 2월 아이들이 졸업할 때, 10년 후쯤에 꼭 한번 만나자며 우리는 헤어졌다. 그리고 이태쯤은 아이들과 내왕을 했다. 5월 스승의 날이 되면 아이들은 추렴하여 나를 안동의 삼겹살집으로 초청해 주었기 때문이다. 그러고 나서 사내아이들이 입영을 시작하면서 연락이 뜸해지더니 4, 5년 전부터는 아예 연락이 끊어졌다. 고1, 고3 두 차례나 담임으로 만난 시골 아이들 이 아이들의.. 2019. 3. 22.
좋은 이웃, 혹은 제자들(2) 복직 이후의 학교에서 만난 아이들 해직 5년은 내 삶에서 일종의 변곡점이었다고 할 수 있을까. 이른바 ‘아스팔트’ 위의 교사로 쪼들리며 산 세월이었지만 마음만은 부자였던 시절이었다. 복직도 승리의 전망도 별로 보이지 않았지만, 그 시절을 견뎌낼 수 있었던 것은 역시 젊음 때문이었다. 5년 만의 복직, 다시 만난 아이들 1994년 3월에 나는 경북 북부지역의 한 시골 중학교에 복직했다. 막상 학교로 돌아왔지만 적응하기가 쉽지 않았다. 동료가 ‘중증’이라고 표현할 만큼 내 의식과 현실은 어긋나기만 했다. 그러나 거기서 지낸 2년도 잊을 수 없다. 고비를 넘을 수 있었던 것은 동료들의 지지 덕분이었던 것 같다. 서른아홉, 젊다면 젊었고 아이들은 순수했다. 첫해는 담임 없이 수업만 했고 이듬해는 학기 중간에 1.. 2019. 3. 22.
‘무관심’, 혹은 ‘살인과 배신’ 부르노 야센스키(Bruno Yasenskii), ‘살인과 배신보다 무관심’을 경계 1988년, 학교를 옮기고 500만 원짜리 전셋집, 재래식의 '부엌이 깊은 집'에 들었다. 방은 두 칸. 아이들은 아직 어려서 데리고 잤는데, 삐딱한 사다리꼴의 작은방에 내 서재를 꾸몄다. 말이 서재지, 제재소에서 켜 온 합판을 구운 적벽돌로 받쳐놓은 간이 책장이 전부인 초라한 공간이었다. 오래 써 온 크로바 타자기를 그 즈음 막 나온 라이카 전자타자기로 바꾼 때였다. 헝겊 리본이 아닌, 교체할 수 있는 고급 리본으로 인자(印字)되는 선명한 글꼴이 아름다웠고, 한 줄 입력이 끝나면, 자동으로 줄이 바뀌면서 나는 묵직한 기계음이 새로운 물건을 쓰는 즐거움을 새록새록 환기해 주곤 했다. 위의 글은 그때 그 타자로 쳐서 내 보르.. 2019.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