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8

쥘부채…, 세월 그리고 인연 어떤 아이가 준 쥘부채와 세월 어릴 적에도 덥기는 마찬가지였다. 햇볕에 발갛게 익어 집에 들어가면 어머니는 커다란 부채로 한참 동안 바람을 부쳐 주시곤 했다. 그것도 아주 느리게 천천히. 그게 성이 차지 않아 어머니에게서 부채를 빼앗아 마구 까불 듯 부쳐 보지만 금세 팔이 아파서 그치곤 했다. 그러면 어머니는 싱긋 웃으시고 다시 가만가만 공기를 떠밀어내듯 설렁설렁 부채질을 해 주시는 것이었다. 어머니는 팔도 아프지 않으실까. 어째서 어머니는 지치지도 않고 저리 부채질을 하실 수 있는 것일까. 그건 오래도록 쉬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였다. 거듭하는 얘기다. 올해는 더위를 유난히 견디지 못했다. 여자아이들은 온도에 매우 예민하다. 교사는 숨이 막히는 듯한 느낌을 견디고 있는데도 몇몇 아이들은 얇은 담요를 덮어.. 2021. 9. 18.
김광규 시 ‘나뭇잎 하나’ 일상의 삶에서 이루어지는 성찰, 그 담백한 기록 아이들에게 을 가르쳐 온 지 서른 해를 넘겼는데도 여전히 문학은 쉽지 않다. 때로 그것은 낯설기조차 하다. 아이들 앞에선 우리 시와 소설을 죄다 섭렵한 척하지만 나날이 배우고 익혀야 한다는 점에서 교사도 아이들과 다르지 않다. 단지 교사는 아이들보다 경험의 폭이 크고 깊으며, 그것을 어떻게 이해하고 느껴야 하는지를 알고 있을 뿐이다. 교과서에 실리는 시편도 그렇지만, 부교재나 모의고사 따위에 나오는 시들 가운데서는 뜻밖에 낯선 시들도 나날이 목록을 더해 간다. 그 시편들을 낱낱이 뜯고 찢어내어 아이들에게 펼쳐 보이는 게 교사들의 주된 임무(?)다. 가슴으로 느끼고 담으라고 하는 대신 우리는 낱낱의 시어에 담긴 비유와 이미지를 기계적으로 설명해 주는 데 그친.. 2021. 5. 4.
<무소유>를 다시 읽으며 ‘베스트 셀러’ 를 다시 읽다 법정 스님의 입적 소식을 나는 무심하게 들었다. 그 며칠 전에 그의 병이 위중하다는 소식을 듣고 있었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무심하게’ 들었다는 말은 그의 죽음을 우리가 일상에서 숱하게 만나는 여느 ‘명사의 부음’과 다르지 않게 받아들였다는 뜻이다.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다. 70년대 중반 이후, 내내 어정쩡한 ‘문청(文靑)’이었던 나는 법정에 대해서 별로 아는 게 없었다. 나는 수필집 의 지은이고, 숱한 저작을 남긴 만만찮은 문인이라는 것 정도로만 그를 이해했다. 내가 70년대 후반의 마지막 3년을 군대에서 보낸 것이 이유가 될지 어떨지는 모르겠다. 곰곰 생각해 보면, 가 공전의 판매량을 기록한 베스트셀러였다는 것과 내가 문청이었다는 사실이 역설적으로 그에 대한 내 무관.. 2021. 3. 24.
‘시니어’로 돌아가는 아름다운 당신들에게 2012학년도 방송통신고 졸업에 부침 지난 17일로 방송통신고등학교의 2012학년도가 막을 내렸습니다. 물론 3학년 3반의 서른한 명 늦깎이 학생인 당신들의 감격스러운 졸업과 함께 말입니다. 사흘 전에 치러진 본교 졸업식 때와는 달리 저는 오랜만에 정장을 갖추어 입었습니다. 반드시 졸업반 담임이어서는 아니라 무언가 정중하게 이 의식 앞에 서야겠다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어떤 이에겐 그렇고 그런 한 해에 그칠지 모르지만 당신들에게 지난 삼년의 의미는 매우 각별했을 터입니다. 그 삼년은 이 나라의 고교생이라면 누구나 거쳐야 하는 과정이지요. 그러나 당신들에게 지난 세 해는 단순히 햇수로만 따질 수 있는 날은 결코 아니었지요. 이 ‘졸업’의 의미 한 해라고 해도 등교해야 하는 날은, 하루 7시간의 수업이 기다.. 2021. 2. 22.
이장희- 노래여, 삶이여 음악에 대한 갈증을 확인하게 한 특집 방송 ‘세시봉’ 프랑스어로 ‘멋지다’는 뜻의 ‘세시봉(C’est Si Bon)이 시방 상종가다. 정확히 말하면 40여 년 전 ‘세시봉’이란 음악감상실에서 인연을 맺은 왕년의 가수들이 이야기하는 삶과 노래에 대한 대중의 갈채가 뜨겁다는 얘기다. 지난해 추석 연휴의 첫 방송에 이어서 어제 방영된 2회도 대단한 호응을 불러일으킨 듯하다. 텔레비전은 켜져 있으면 보고 꺼져 있으면 굳이 틀지 않는 편이다. 그러니 어떤 프로그램을 보려고 기다리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러나 어제는 일부러 기다렸다가 ‘세시봉’ 멤버들이 나오는 ‘놀러와’를 시청했다. 딸애는 물론, 명절을 쇠려고 내려온 아들도 함께였다. 추석 연휴 때도 우리는 ‘재방송’을 함께 시청했었다. [관련 글 : 통기타, ‘.. 2021. 2. 8.
시계, 시간, 세월 늘 시계를 몸에 지니며 살아온 시간 나는 늘 시계를 몸에 지닌다. 휴대전화가 나온 뒤에 그걸로 시간을 확인한다는 이들이 적지 않다. 그러나 나는 시계는 시계고, 휴대전화는 휴대전화라고 생각한다. 무슨 작업을 한다든지 하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나는 시계를 항상 왼쪽 손목에 찬다. 시간을 보는 행위는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 나는 수업을 하다가도 길을 걷다가도 자주 시계를 들여다본다. 그것은 무심한 습관일 수도 또는 자신의 삶과 일상에 대한 확인 행위일 수도 있다. 시계를 보면서 나는 시간의 흐름 속에 놓인 자신의 모습을 객관화하고자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집에 돌아오면 나는 텔레비전 옆 문갑 위에다 시계를 끌러놓는다. 그것은 내가 일상과 삶의 공식에서 벗어났음을 뜻한다. 텔레비전을 보면서 나는 손목.. 2019. 11. 17.
밀양, 2006년 8월(2) 초임 학교에서 가르친 ‘첫 제자’, 큰아기들을 만나다 친구들과 작별하고 교동 사무소 앞 쉼터에서 만난 다섯 아이(부인이라고 말하는 게 더 합당하겠지만, 여전히 그녀들을 바라보는 내 시선은 ‘사제’라는 관계망을 벗어나지 못한다)와 나는 성급한 안부를 나누는 거로 말문을 텄다. 영주에 살다가 부산으로 이사한 아이와 밀양에 살고 있는 친구를 빼면 나머지 셋은 꼭 1년이 모자라는 20년 만에 만나는 셈이었다. 이들이 졸업의 노래를 합창하고 여학교를 떠난 게 1987년 2월이고, 지금은 2006년인 것이다. 그리고 그때, 그녀들에게 국어와 문학을 가르치던, 넘치는 열정 때문에 좌충우돌하던 청년 교사는 ‘쉰 세대’가 되어, 이제 ‘거울 앞에 선 내 누님같이’ 불혹을 바라보는 성숙한 부인이 된 옛 여고생들과 다시 만.. 2019. 3. 11.
사진첩, 함께한 시간과 가족의 발견 오래된 사진첩에 만나는 가족과 세월 어느 날이었던가. 귀가하니 아내가 딸애와 함께 사진첩을 들여다보고 있었다. 몇 권의 사진첩 중 가족사진만 따로 모은, 좀 두꺼운 놈들이었다. 거의 모두 손수 찍은 사진인데도 새삼 그 사진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자니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까마득한 과거로 돌아가는 느낌이었다. 나는 늘 사진을 바라보는 것은 그걸 찍을 때의 느낌을 되새기는, ‘감정의 복기(復碁)’ 같은 거라고 생각해 왔다. 10년이나 20년쯤의 시간이라면 그걸 되돌릴 수는 물론 없다. 그러나 사진이란 놈은 마치 주마등처럼 혹은 파노라마처럼 우리가 고단하게 밟아온 시간을 고스란히 우리에게 펼쳐주기도 하는 것이다. 날이 갈수록 기억이 희미해지는 걸 어쩔 도리는 없다. 그러나 오래된 사진 한 장 한 장을 들여다볼.. 2019.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