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사월혁명2

[오늘] 가장 ‘젊은 정신’ - 시인 김수영 떠나다 1968년 6월 16일, 시인 김수영 교통사고로 떠나다 1968년 오늘(6.16.), 서울적십자병원에서 시인 김수영(金洙暎,1921~1968)이 48년의 짧았던 삶을 마감했다. 전날 밤 소설가 이병주, 시인 신동문과 함께 술을 마신 뒤 귀가하다 버스에 치였던 시인은 끝내 의식을 회복하지 못한 채 숨을 거두었다. 신동엽(1930~1969)과 함께 1960년대를 대표하는 참여시인 김수영은 그렇게 덧없이 세상을 떠났다. 김수영은 1921년 서울 출신이다. 선린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1941년 도쿄상대에 입학했다. 그러나 태평양전쟁이 일어나자 학병 징집을 피해 귀국하여 가족들과 함께 만주 길림성으로 이주하였다. 김수영은 해방이 되자 귀국하여 연희대에 편입했다가 중퇴하였다. 모더니스트에서 참여 시인으.. 2023. 6. 16.
4·19 아침에 4·19 혁명 마흔여덟 돌 4·19 혁명 마흔여덟 돌 기념일이다. 아침에 최재봉 기자의 칼럼에서 민중가요 “진달래”에 관한 기사를 읽었다. 노찾사 4집에 실렸던 이 노래는 정운(丁芸) 이영도가 쓴 4·19 희생자들을 기린 시라고 한다. 그랬었구나. 시의 유래도 유래지만, 그 이영도가 청마 유치환이 “사랑했으므로 행복하였네라”고 노래한 그 여인이라니……. 초등학교 6학년 때였던가, 형이 사 온 청마의 서한집 (1967)로 나는 청마와 이영도를 만났다. 장정판의 책 케이스에 실린 시 ‘행복’을 외워버린 게 아마 그때쯤일 것이다. 그이가 이호우 시인과 오누이 사이란 걸 알았지만 정작 이호우를 그의 유명한 현대시조 ‘개화’로 만난 것은 이듬해 중학교에 입학하고서였다. 그러나 이영도는 내게 청마가 5천여 통의 편.. 2021. 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