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동상3

[오늘] ‘어린이’ 해방의 기수 방정환은 ‘사회주의자’였다 [역사 공부 ‘오늘’] 1931년 7월 23일, 소파 방정환 선생, 서른둘에 지다 소파 방정환(1899~1931) 탄생 120돌을 맞아 이 창비에서 나왔다. 이 전집은 한국방정환재단이 주도해 8년간의 연구 끝에 동화·동요·동시·시·동극(이상 1권), 아동소설·소설·평론(이상 2권), 산문(3~5권) 등 방정환의 작품과 글 전체를 모은 것이다. 편찬위원회는 그동안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54편의 자료를 새로 발굴했다. 방정환이 고안한 ‘조선 십삼도 고적 탐승 말판’( 1929년 1월호 부록)을 비롯하여 그동안 출간물로 엮이지 않았던 미공개 자료 237편도 처음으로 수록했다. 방정환은 그동안 남쪽에선 ‘나라 사랑’의 표본으로 반공 이데올로기 강화에 동원되었고, 북쪽에선 한동안 현실과 유리된 천진난만한 동심만을.. 2023. 7. 22.
[오늘] 승려·시인·독립운동가 만해 한용운 대선사 열반 [역사 공부 ‘오늘’] 1944년 6월 29일, 만해 한용운 해방 보지 못하고 떠나다 1944년 6월 29일, 성북동의 우거 심우장(尋牛莊)에서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였던 만해 한용운(1879~1944) 큰 스님이 오래 앓던 중풍으로 별세하였다. 남향으로 터를 잡으면 조선총독부와 마주 보게 되는 것이 싫어서 일부러 반대편 산비탈에 북향으로 집을 지었던 이 강골의 독립운동가는 열네 달 후에 올 해방을 보지 못하고 눈을 감았다. 향년 65세. 만해는 기미년 독립선언을 계획하고 선언서 작성에 참여하여 공약 3장을 추가하는 등 3·1운동을 주도했고 국내 독립운동세력의 역량을 결집하고자 신간회(1927) 결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독립운동가였다. 그는 3·1 운동 뒤 3년간 복역했고 이후 죽을 때까지 일제에 대한 저항.. 2023. 6. 29.
19년 복역한 독립운동가는 왜 ‘양복 수선공’으로 남았나 뤼순감옥 ‘장기수’ 독립운동가, 박희광 선생 50주기를 추모하며 구미 금오산도립공원으로 가는 길을 오르다 보면 금오지(金烏池)가 끝나는 길목에서 금빛 동상 한 기를 만날 수 있다. 저수지를 등진 채 금오산을 바라보면서 오른손을 들고 있는 입상은 무언가를 말하려 하는 듯하다. 더러 박정희로 오인되는 박희광 선생 동상 동상 아래 세로로 새긴 한자 휘호가 있지만, 으레 그게 박정희 전 대통령이라고 여기는 구미사람들도 적지 않다. 휘호를 쓴 이는 박정희지만, 동상의 주인공은 박희광(1901~1970) 의사다. 그는 일제강점기 펑톈성(奉天省)에서 보민회(保民會)와 일민단(日民團) 등 친일 부역자 숙청작업을 담당한 독립운동가다. 박희광은 박정희(1917~1979)보다 16년이나 연상이니 동년배라고 하기는 어렵다. .. 2020.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