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낙엽을 태우면서3

메밀꽃의 발견 다시 바라보는 메밀꽃, ‘이미지’와 ‘현실’ 사이 사물에 대한 우리의 기억은 매우 선택적인 것처럼 느껴진다. 내 기억 속에서 접시꽃은 도종환 시인의 ‘접시꽃 당신’이 나온 이후 어느 날부터 존재하기 시작했던 듯하다. 내 발길이 닿는 곳마다 본래 접시꽃이 그렇듯 지천으로 피어 있었던 것인지, 시인의 시가 세상에 나온 이래, 집중적으로 접시꽃이 심어진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후자의 가능성은 희박하다. 따라서 새로운 ‘접시꽃의 발견’의 책임은 마땅히 내 기억에 있는 것이다. 일상에는 존재하되, 기억 속에서는 존재하지 않던 사물도 새롭게 부여된 어떤 동기로 말미암아 비로소 존재하기 시작하는 것일까. [관련 글 : 접시꽃, 기억과 선택 사이] 어느 해 봄은 흐드러지게 핀 찔레꽃이 유난히 자주 눈에 밟혔는데, 올.. 2021. 9. 3.
그 메밀꽃은 ‘진짜 메밀꽃’은 아니었다 [여행] 메밀꽃과 봉평, 그리고 이효석 삼수 끝에 2018년 동계올림픽을 유치하게 되면서 평창은 뉴스의 중심지로 떠오르긴 했다. 그러나 사람들은 여전히 평창을 잘 모른다. 정작 대관령을 알아도, 거기 있다는 양떼목장 이야기는 들어도, 문수 신앙의 영산 오대산과 월정사, 상원사 동종 얘기는 나누면서도 거기가 ‘평창군’이라는 사실은 잘 모른다. 대신 사람들은 이효석과 메밀꽃으로 평창을 기억해 낸다. 대관령을 낀 지역이 대관령면, 오대산국립공원과 유서 깊은 절집을 끼고 있는 동네가 진부면이라는 건 잘 모르지만 더러는 ‘봉평’과 ‘대화’를 마치 오래된 추억의 장소처럼 기억해 낸다. ‘메밀꽃 필 무렵’의 아주 익숙한 로맨스 물론 이는 전적으로 교과서에서 배우거나 책에서 읽은 가산(可山) 이효석(1907~1942).. 2019. 9. 6.
메밀꽃과 봉평, 그리고 이효석 처음 만난 봉평의 메밀꽃, 인파에 질려 돌아오다 지난 토요일에는 아내와 함께 강원도 평창을 다녀왔다. 뒤늦게 쉬게 된 주 5일제 휴무였고, 아침에 받은 1면에서 만난 봉평의 메밀꽃에 ‘시선이 꽂혀서’였다. 중앙고속도로를 타고 원주까지 가서 다시 영동고속도로를 탔는데, 봉평에 도착하기까지 두 시간이 좋이 걸렸다. 굳이 메밀꽃 구경을 하자고 나선 것도 아닌, 그냥 무작정 떠난 길이었다. 효석문화제를 따로 염두에 둔 것도 아니었다. 내가 살고 있는 안동 지역의 축제도 제대로 한번 참가해 보지 않는 타고난 게으름이 어디 가겠는가, 나는 인파가 모이고 사람이 부딪히는 자리는 멀찌감치 돌아가는 편인 사람이다. 봉평 나들목에서 내려 봉평면 입구에 들어서자, 이미 차들의 행렬이 굼벵이 걸음 중이었다. 시가지를 관통하는.. 2019.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