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김용주2

조선인 최초의 경찰서장 윤종화와 그 후예들 조선인 최초 경찰서장 윤종화와 그 후예들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하고, 친일 매국을 하면 3대가 떵떵거리고 산다.” 이는 우리 근대사의 상처를 환기해 주는, 굳이 확인하고 싶지 않은 우리 사회의 속설 가운데 하나다. 그러나 여전히 우리는 이 해묵은 상처를 헤집는 현실을 심심찮게 만날 수 있다. 우리 사회의 기득권층의 대부분은 그 연원을 거슬러 오르면 친일 부역의 역사를 만나게 된다는 데 동의할 수밖에 없을 만큼. 정치인들 가운데서도 친일파 출신의 선친이나 조부 덕분에 논란이 된 이들도 적지 않다. 가까이는 2015년, 선친인 김용주 전 전남방직 회장의 평전을 냈다가 해묵은 친일 논란에 휩싸인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현 바른정당)가 있다. 기득권층의 연원, 친일 부역의 역사 민족문제연구소에서 밝힌 김.. 2019. 3. 15.
일제하 군용 비행기 헌납운동과 김용주 일제 군용기 헌납 선동한 친일 부역자 김용주 전 전남방직 회장 최근 민족문제연구소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선친인 김용주 전 전남방직 회장이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 징병을 독려하고 일제에 군용기 헌납을 선동하는 등 자발적 친일행위를 했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 선친의 평전인 을 펴냈던 김 대표로서는 스타일을 잔뜩 구겨버린 셈이 되었다. [관련 기사] 일제의 ‘군용기 헌납’ 강요 김용주의 친일 행적 가운데 눈에 띄는 대목이 ‘군용기 헌납’이다. 일제는 만주침략 후 중국과의 본격적인 전쟁에 대비한 군비증강을 위해 1935년 각 도·부·군이나 단체에 국방비 헌납을 강요하였고 그 선봉에 친일 관료, 지식인, 자본가가 나섰다. 2005년 민족문제연구소가 공개한 군용 비행기를 헌납한 친일 인사 100여 명과 친일단체.. 2019.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