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국어사전2

어떤 <국어사전>을 쓰십니까? 이야기 대체로 사람들은 국어사전을 잘 이용하지 않는다. 워낙 이 나라에선 대접받는 언어라 어릴 때부터 부득이 끼고 살 수밖에 없는 영어사전과는 경우가 다르다. 그게 ‘쉬운 모국어’라서가 아니라 그거 잘못 써서 타박 들을 일이 잘 없어서 그렇다. 영어 철자 하나를 빼먹은 것은 ‘쪽팔리는’ 일이지만 맞춤법이나 띄어쓰기에 어긋나는 걸 아무도 부끄럽게 여기지 않기 때문이다. 집집이 보급판 ‘국어사전’이 한 권씩 있던 시절이 있었다. 일부러 국어사전을 사는 일은 드물었으니 그건 물론 초중등학교 졸업식에서 타온 상품이기 쉬웠다. 그런데 영어사전과는 달리 그건 서가에 장식용으로 꽂혀 있다가 누렇게 바래져 가곤 했다. 과 국어사전을 그래도 가끔 뒤적였던 나는 국어를 가르치는 교사가 되었다. 한동안은 사전을 들고 수업에.. 2021. 5. 29.
[한글 이야기] ‘심심파적’과 ‘불여튼튼’ ‘순우리말 어근’에 ‘한자어’가 붙어서 만들어진 말 얼마 전 의 서평 기사에 ‘심심파적’이란 낱말을 썼다. 송고할 때는 분명 그렇게 썼는데, 편집하면서 실수로 빠졌는가, 기사에는 ‘심심파’로 나왔다. 수정해 달라고 요청하려다가 말았다. 아는 사람은 바르게 고쳐서 읽겠지 하고서. ‘심심파적’에서 ‘심심-’은 형용사 ‘심심하다’의 어근(語根)이다. ‘-파적(破寂)’은 말 그대로 ‘고요를 깨뜨림’이란 뜻이니 이는 곧 ‘심심풀이’란 뜻으로 쓰이는 말이다. 순우리말 어근에다 한자어가 붙어서 만들어진 말인 셈이다. 언제쯤 이 말이 쓰이기 시작했는지는 알 수 없다. 표준국어대사전의 용례에도 김원우의 소설(1986)과 이희승의 회고록(1996)을 인용하고 있으니 그리 오래되지는 않은 듯하다. 기본적으로 ‘새말[신어(新.. 2019. 10.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