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공병우2

[오늘] 공병우, ‘세벌식 글자판’ 통일 못 이루고 떠나다 [역사 공부 ‘오늘’] 1995년 3월 7일, 한글 운동가 공병우 박사 타계1995년 오늘(3월 7일)은 유명 안과 의사이자 한글 운동가 공병우(公炳禹,1906~1995) 박사가 노환으로 타계했다. 향년 89세. 안과의사로 특이하게 한글 전용 운동과 한글 기계화와 전산화에 크게 이바지한 공병우는 유언도 남달랐다. “나의 죽음을 세상에 알리지 말고, 장례식도 치르지 말라. 쓸 만한 장기는 모두 기증하고 남은 시신도 해부용으로 기증하라. 죽어서 땅 한 평을 차지하느니 차라리 그 자리에 콩을 심는 게 낫다. 유산은 맹인 복지를 위해 써라.” 장례 후, 유족들은 후진들의 의학 교육에 도움을 주라는 유지에 따라 그의 시신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 해부학 실습을 위해 기증하였다. 그는 죽어서도 자신의 몸을 후학들의 .. 2024. 3. 7.
[573돌 한글날] 우리말, 얼마나 알고 있습니까? 오백일흔세 돌 한글날, 우리말 얼마나 알고 있나 오백일흔세 돌 한글날을 맞으면서 한힌샘 주시경(1876 ∼1914)을 생각한다. 한글이라면 그저 세종 임금과 집현전 학자들만 떠올리겠지만, 한글의 연구와 발전에 이바지한 국어학의 개척자 주시경을 빼놓을 수는 없다. 그는 오늘날 우리가 쓰는 한글의 기본 골격이 되는 문법 이론을 세웠고, 어문혁명의 기초를 닦았다. 그는 또 본격적인 국어연구와 운동을 통해 일제 침략에 항거한 이였다. 그는 교보원(校補員)으로 순 한글 신문 제작에 참여하게 되면서 그 표기 통일을 위해 국어연구를 시작한 후 엄청난 열정으로 거기 헌신했다. 각종 학교에 국어 야학, 국어강습소를 설치하는 데 힘을 기울였고 경술국치 후에도 ‘주 보따리’라는 별명이 붙을 만큼 동분서주하며 후진을 양성했다.. 2019. 10.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