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박경리7

[오늘] 대하소설 <토지> 25년 만에 완간(1969~1994) [역사 공부 ‘오늘’] 1994년 10월 8일, 작가 박경리 대하소설 완간 1994년 10월 8일, 작가 박경리(朴景利, 1926~2008)의 대하소설 가 25년 만에 완간(完刊)되면서 근현대를 살아온 한국인의 장대한 삶의 파노라마를 다룬 이 위대한 작품의 여정은 마침내 마무리되었다. 1969년 1부를 쓰기 시작했을 때 마흔두 살이었던 작가가 예순일곱의 노년에 이른 이 25년은 한편으로 한국 현대사의 또 다른 파노라마의 연속이기도 했다. 그것은 단순히 25년이란 장구한 세월이 소요되었다거나 원고지 3만 장을 훨씬 넘는 대작이라는 등 수치의 문제가 아니었다. 작가가 긴 세월 동안 수만 장의 원고지에 담아낸 것은 각고의 노력이면서 동시에 한민족의 원형으로서 토지를 중심으로 교직(交織)한 위대한 서사였기 때문.. 2023. 10. 8.
Q씨에게 - 경어체 입문 작가 박경리 선생의 ‘Q씨’를 빌려 Q의 유래 영자 Q는 매우 매력적인 글자 같다. Q는 일찍이 루쉰이 에서 주인공의 이름으로 쓴 글자고 박경리 선생도 수상집 를 통해 창조한 인물에 같은 글자를 썼다. 익명으로 쓰는 Q는 적어도 유래 있는 글자임에는 틀림이 없다. 감히 거기 견주는 것은 외람된 일이지만 내가 웹에서 주로 쓰는 아이디(q9447)에 Q를 썼다. 물론 나는 두 작가가 작품에 쓴 Q를 무단(?)으로 따 왔다. 나는 루쉰의 그것보다는 박경리 선생의 ‘Q씨’에 이끌렸다. 선생은 왜 ‘Q’를 썼을까. 나는 Q가 흔히 쓰는 ‘질문’(question)에서 온 게 아닐까 짐작하지만 정확한 것은 알 수 없다. 선생은 에서 Q씨를 스스로도 알지 못하는 인물로 설정한다. 동시에 Q씨 역시 자신을 알지 못할 거.. 2021. 10. 30.
[2010 텃밭일기 ⑦] 나는 아직 ‘고추의 마음’을 알지 못한다 배추벌레와 교감하는 시인, 그러나 지난 일기에서 고추에 벌레가 생겼다고 얘기했던가. 어저께 밭에 가 보았더니 고추에 병충해가 꽤 심각하다. 열매 표면에 구멍이 나면서 고추는 시들시들 곯다가 그예 고랑에 떨어진다. 열매가 허옇게 말라붙어 버린 것도 곳곳에 눈에 띈다. 장모님께 귀동냥한 아내는 그게 ‘탄저(炭疽)병’이라는데 글쎄, 이름이야 어떻든 번지는 걸 막아야 하는 게 급선무다. 아내가 처가를 다녀오면서 약이라도 좀 얻어 오겠다더니 빈손으로 왔다. 잊어버렸다고 하는데 정작 장모님께선 별로 속 시원한 말씀을 해 주지 않으신 모양이다. 딸네가 짓는 소꿉장난 같은 고추 농사가 서글프셨던 것일까. “어떡할래?” “번지지나 않게 벌레 먹거나 병든 놈을 따내고 말지 뭐, 어떡해…….” 두 이랑에 불과하지만, 선배의.. 2020. 7. 22.
박경리와 홍성원, 두 작가의 부음에 부쳐 박경리 1926~2008. 5. 1. 두 명의 작가가 앞서거니 뒤서거니 세상을 떠났다. 지난 1일엔 홍성원(71)이, 오늘(5일) 오후에는 박경리(82) 선생이 각각 작가로서, 자연인으로서 당신들의 삶을 마감했다. 물론 그것은 가족이나 친지의 부음처럼 애잔한 슬픔으로 다가오지는 않았다. 박경리 선생이 위중하다는 것을 이미 며칠 전에 뉴스를 통해 알고 있었던 까닭에 나는 ‘그랬구나……’ 하는 정도로 선생의 부음을 받아들였다. 향년 여든둘이라는 걸 확인하면서 나는 잠깐 아쉬움을 느꼈을 뿐이다. 82세라면 요즘 같으면 얼마든지 건강해도 될 연세이니 말이다. 선생의 부음은 신문과 방송에서 실시간으로 보도하면서 저마다 선생의 삶과 문학세계를 다투어 기리고 있는 듯하다. 나는 잠깐 그이가 살아낸 80여 년의 삶과 .. 2020. 5. 5.
하동 평사리, 그 ‘허구와 현실의 경계’에 서다 박경리 대하소설 의 배경을 찾아서 하나 마나 한 얘기지만 소설은 허구(fiction)다. 그것은 단순한 ‘현실의 모사나 재현’이 아니라, 작가가 창조하는 현실의 ‘재구성’이고 ‘재창조’이다. 그 재구성된 현실이 도저한 삶보다 뒤처지는 일도 없지 않지만, 이 개연성 있는 허구는 때로 현실 속으로 깊숙이 들어와 현실과 허구와의 경계를 허물어 버리기도 한다. 또 작가가 창조해 낸 인물과 그 삶은 마치 현존 인물처럼 우리 주변에서 생생하게 살아 있기도 해서 사람들은 그들이 살았던 땅과 거리 등에서 그들의 흔적과 체취를 날 것 그대로 느끼기도 한다. 남도의 벌교나 보성 등지를 여행하면서 의 독자들은 김범우뿐이 아니라 염상구가 활보했던 거리와 기찻길 따위를 아주 선명하게 떠올릴 수 있을 터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소.. 2019. 8. 22.
11주기, 작가 박경리를 다시 생각한다 작가 박경리 선생의 부음에 부쳐 5월 5일은 작가 박경리 선생의 11주기다. 선생은 강원도 원주에서 살다가 2008년 5월 5일, 82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나는 마음으로 꽃 한 송이 바치며 선생을 배웅했다. 일찍이 고교 시절에 에 입문한 뒤, 대여섯 번쯤 이 위대한 소설을 읽었다. 11주기를 맞아 경남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 박경리문학관에서는 추모문학제가 열린다고 한다. 하동의 박경리문학관은 2017년 평사리문학관을 개축하고 박경리문학관으로 이름을 바꿔 개관한 곳이다. 나는 2007년에 「토지」의 주 무대를 재현한 이곳 평사리를 찾았었다.[관련 기사 : 평사리, 그 허구와 현실의 경계에 서다] 박경리 선생을 기리는 시설은 하동 말고도 타계할 때까지 살았던 강원도 원주와 그의 묘소가 있는 경남 통영에.. 2019. 5. 5.
2009년 통영, 박경리 기행 박경리와 그의 문학의 고향 통영 기행 지난 5월 5일은 작가 박경리 선생의 1주기였다. 따로 문상하지 않았던 나는 원주를 찾아 그이의 흔적을 잠깐 더듬었다. 원주 시내에 있는 ‘토지문학공원’에서, 그리고 그이가 살던 슬래브집을 둘러보는 거로 나는 선생을 추모했다. [아아, 박경리 그리고 토지] 그이가 묻힌 통영을 다녀오리라고 마음먹은 지 꼭 석 달 만에 나는 통영을 찾았다. 거제도를 다녀오던 길, 벗들과 함께였다. ‘통영(統營)’은 ‘삼도수군통제영(三道水軍統制營)’에서 온 이름이다. 통영은 통영군에서 시로 승격되면서 충무공(忠武公)의 시호를 따서 ‘충무’라 하였다가 1995년 시군이 통합되면서 다시 제 이름을 되찾았다. 2009년 8월, 통영을 찾다 바다가 아닌 산과 어우러진 호수 같은 바다를 가진 이 .. 2019.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