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바람과 먼지의 세상, 그 길 위에 서서

김좌진4

[순국(殉國)] 1930년 오늘 - 청산리의 김좌진, 흉탄에 스러지다 1930년 1월 24일, 김좌진 장군 흉탄에 스러지다 1930년 새해를 김좌진(金佐鎭, 1889~1930)은 활기차게 맞았다. 지난해 7월 김좌진의 신민부가 김종진, 이을규, 이강훈 등의 아나키스트와 연대하여 결성한 재만한족총연합회(한족총련)가 북만주 지역의 독립운동에 새 바람을 일으키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1월 하순 어느 날, 그는 중동선(中東線) 산시역 근처에 있던 한족총련 소속의 도정공장으로 나갔다. 중동선 일대의 한인들이 생산한 수만 석의 미곡을 도정하여 위탁 판매하는 과정에서 중국 상인들에게 농단 당하지 않게 설치한 정미소였다. 이 공장에서 김좌진은 조선공산당 만주총국 소속의 한인 박상실의 총에 맞는다. 1930년 1월 24일 오후 4시였다. 향년 41세. 1920년 항일무장투쟁사에 빛나는 청산.. 2024. 1. 24.
[오늘] 청산리 전투, 큰 승리로 막을 올리다 [역사 공부 ‘오늘’]1920년 10월 21일, 청산리 백운평에서 일본군 200여 명 전멸시키다 1920년 오늘, 중국 길림성 화룡현 삼도구 청산리 백운평(白雲坪)에서 이범석이 지휘하는 북로군정서(총사령관 김좌진) 제2제대가 일본군 보병 19사단 야스카와 지로(安川二郞)의 전위부대 200여 명을 교전 20여 분만에 전멸시켰다. 첫 전투의 승리로 청산리 전투가 시작된 것이었다. 청산리 전투는 좁게는 이 백운평 전투를 이르지만 이후 전개된 김좌진(1889~1930)의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과 홍범도가 이끄는 대한독립군 등을 주력으로 한 독립군 부대가 청산리 일대에서 10여 회의 교전 끝에 일본군을 대파한 전투를 포괄한다. 백운평 전투의 승리로 시작된 청산리 대첩 뒷사람들이야 전설처럼 전승되는 이 독립전쟁.. 2023. 10. 21.
육군사관학교는 왜 ‘독립전쟁 영웅의 흉상’을 ‘철거’하려 할까 ‘1948년 건국론’과 맥을 잇는 ‘단절적 역사관’의 민낯 *PC에서 ‘가로 이미지’는 클릭하면 큰 규격(1000×667픽셀)으로 볼 수 있음. 육군사관학교(육사)가 교내 중앙현관 앞에 설치된 독립전쟁 영웅 네 분과 이회영 선생 흉상을 철거해 외부로 옮기고자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대신에 육사는 일제 만주군 출신 백선엽 장군의 흉상 설치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독립운동 관련 단체들은 “국군의 역사적 정통성을 부정하는 반헌법적 처사”라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고 한다. [관련 기사 : 홍범도 철거하고 ‘만주군 출신’ 백선엽 흉상 검토…육사의 ‘역사 쿠데타’] 육사의 영웅 흉상을 철거, 국군의 역사적 정통성 부정인가 육사 내에 흉상으로 설치된 독립군‧광복군 장군은 홍범도‧김좌진‧지청천‧이범석 네.. 2023. 8. 26.
[순국] 청산리 전투의 주역 대한독립군단 총재 서일, 자결 순국하다 1921년 9월 28일 - 대한독립군단 총재 서일, 자결 순국하다 1921년 9월 28일(음력 8월 27일), 노령 국경 부근 미산(密山)에서 대한독립군단 총재 서일(徐一, 1881~1921)이 대종교 수양법의 하나인 조식법(調息法- 호흡을 멈추는 방법)으로 자진(自盡) 순국하였다. 그때 그는 자유시(自由市) 참변으로 타격을 입고 밀산에서 재기를 준비하던 중이었다. 전날, 소련 적군(赤軍)의 후원을 받은 토비(土匪) 수백 명이 야간 기습하여 진영이 초토화되고 훈련 중이던 숱한 청년 병사들이 희생되자 그는 독립군 지휘관으로서 책임을 지고자 짧은 유언을 남기고 자결한 것이었다. 향년 41세. “조국 광복을 위해 생사를 함께 하기로 맹세한 동지들을 모두 잃었으니 무슨 면목으로 살아서 조국과 동포를 대하리오. .. 2023. 8. 26.